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71
한자 萬壽山
영어공식명칭 Mansu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성주면|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만수산 - 충청남도 보령시|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만수산 -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성주면|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지도보기
성격
높이 502.8m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의 미산면, 성주면과 부여군 외산면의 경계에 있는 산.

[개설]

보령시는 차령산맥의 말단부가 서해와 만나는 곳으로 서해안의 다른 지역과 달리 해안에 이르기까지 높은 산맥이 뻗어 있는 지역이다. 태백산맥이 오대산 부근에서 갈라져 서남쪽으로 뻗은 차령산맥은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경계부와 충청남도의 중앙부를 통과할 때에는 산맥의 높이가 낮지만, 보령시에 이르러 높이 600~700m 정도로 높아진다.

보령 지역의 지질 중 하나인 대동계의 퇴적암류는 습곡 작용과 단층 작용을 받아 남남서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산지의 방향 또한 같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오서산(烏棲山), 진당산(鎭堂山), 배재산(徘岾山), 봉황산(鳳凰山), 성태산(星台山), 문봉산(文奉山), 장군봉(將軍峯), 옥마산(玉馬山), 잔미산(殘尾山), 통달산(通達山)[동달산(東達山)], 만수산(萬壽山), 양각산(羊角山), 운봉산(雲峰山), 주렴산(珠廉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명칭 유래]

전설에 의하면, “어느 승려가 홍산과 남포 사이에 만인이 살 곳이라 하여 ‘만수산(萬壽山)’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자연환경]

만수산은 높이 502.8m로 차령산맥의 끝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쪽으로 무량산(無量山)과 성주산(聖住山), 남쪽으로 아미산(峨嵋山)과 월명산(月明山) 등으로 이어진다.

[현황]

만수산의 북쪽에는 대보탄광이 있으며, 남쪽에는 보령호가 있다. 남쪽 기슭에는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무량사(無量寺)와 부속 암자가 있다. 능선이 병풍을 두른 듯 사찰 일대를 감싸고 있다. 부여 무량사 극락전(扶餘 無量寺 極樂殿)에는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이 모셔져 있다. 극락전 앞에는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扶餘 無量寺 五層石塔)과 부여 무량사 석등(扶餘 無量寺 石燈)이 있다. 김시습(金時習)의 영정을 모신 산신각과 무량사김시습부도(無量寺金時習浮屠) 등이 남아 있다.

산행 코스는 비교적 단조로운 편이다. 비록 산은 낮지만, 등산할 만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제1코스로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부도골의 극락교가 산행 기점이다. 제2코스는 외산면 행정복지센터를 산행 기점으로 한다. 제3코스는 외산면 무량사 주차장이 산행 기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