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899
한자 集成堂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3길 128[대천리 산15-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8년연표보기 - 집성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0년 - 집성당 개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91년 12월 10일연표보기 - 집성당 충청남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현 소재지 집성당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3길 128[대천리 산15-1]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2칸
측면 칸수 3칸
문화재 지정 번호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대천리에 있는 주자, 송시열을 제향하는 개항기 사당.

[개설]

집성당(集成堂)은 1898년 삼희당(三希堂) 윤석봉(尹錫鳳)[1842~1910]의 주도로 율농(栗農) 신섭(申㰔)[1838~1899]과 돈간재(敦艮齋) 조진학(趙鎭鶴)[1836~1902] 및 보령과 인근 지역의 유림의 도움을 받아 세운 사우이다. 집성당은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영정을 봉안하고 향사(享祀)를 행하였고, 지역의 유림(儒林)이 참여하여 항일위정척사(抗日爲政斥邪) 사상을 강론하고 항일위정척사 정신을 지켜나갔던 곳이다.

윤석봉은 화서학파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문인이며,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1833~1906], 의암(毅菴) 유인석(柳麟錫)[1842~1915], 경암 서상렬(徐相烈)[1854~1896] 등 당대 의병장들과 교유한 인물로 1906년 홍주의병에 가담하였다.

집성당윤석봉을 포함하여 홍주 출신 지산(志山) 김복한(金福漢)[1860~1924], 복암(復菴) 이설(李偰)[1850~1906] 등 보령 및 주변 지역의 항일운동가들이 활동한 곳이다.

[위치]

집성당웅천읍 화락산 동편 하단부에 있다. 웅천읍 대천리에 있는 웅천초등학교에서 남쪽으로 약 400m 떨어져 있으며, 인근에 웅천돌문화공원이 있다.

[변천]

1898년 처음 건립되었으며, 1990년에 보령시에서 새롭게 개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집성당은 정면 2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왼쪽문 위로는 ‘집성당(集成堂)’이라는 현액이 걸려 있다. 건물 양 옆 박공 아래에는 방풍판이 설치되어 있다. 사우 전면에 솟을문이 있고, 주변은 담장이 둘러져 있다. 건물 앞에는 집성당중건기적비가 있다.

[현황]

1991년 12월 10일 보령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도 지방 유림들이 향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집성당은 조선 후기 항일 사상 강학처이자 항일운동가들이 모여 활동하던 의미 있는 장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