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00
한자 李頥命
영어공식명칭 Lee Imyeong
이칭/별칭 지인(智仁),양숙(養叔),소재(疎齋),충문(忠文)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58년연표보기 - 이이명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80년 - 이이명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4년 - 이이명 충청도 암행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이이명 문과 중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이이명 의정부사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87년 - 이이명 강양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88년 - 이이명 병조참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6년 - 이이명 우의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7년 - 이이명 좌의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이이명 고부청시사로 청나라 사행
몰년 시기/일시 1722년연표보기 - 이이명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25년 - 이이명 관작이 회복되고 충문(忠文) 시호를 받음
추모 시기/일시 1727년 - 이이명 관작이 추탈되고 시호 회수
추모 시기/일시 1740년 - 이이명 관작 회복
추모 시기/일시 1741년 - 이이명 시호 회복
유배|이배지 영해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유배|이배지 남해 - 경상남도 남해시
묘소|단소 임천 이이명 묘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로20번길 34[옥곡리 314]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전주(全州)
대표 관직 좌의정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이이명(李頥命)[1658~1722]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지인(智仁) 또는 양숙(養叔), 호는 소재(疎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유록(李綏祿)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이민적(李敏迪)이고, 어머니는 황일호(黃一皓)의 딸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다. 부인은 판서 김만중(金萬重)의 딸 광산 김씨(光山 金氏)이고, 아들은 이기지(李器之)이다. 작은아버지인 지평 이민채(李敏采)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활동 사항]

이이명은 1658년(효종 9)에 태어나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86년(숙종 12) 중시(重試) 문과에서 급제하였다. 이후 홍문관저작·홍문관박사·홍문관부수찬·사헌부지평·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4년 홍문관의 부교리와 교리를 지내고 충청도 암행어사로 파견되기도 하였다. 1686년 의정부사인과 홍문관응교, 사헌부집의를 거쳐 1687년 강양도관찰사를 지낸 뒤 승정원승지에 제수되었다.

이이명은 1688년 병조참의에 올랐으나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영해(寧海)와 남해(南海) 등지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94년 방면되어 승정원승지·평안도관찰사·경상도관찰사·사간원대사간 등을 지냈고, 1698년에는 형 이사명(李師命)의 억울함을 호소하다가 공주(公州)로 중도부처되었다. 1699년 방면된 뒤에 예조판서·강화유수·사헌부대사헌·한성판윤·이조판서·병조판서 등을 지냈고, 1706년 우의정을 거쳐 1717년에는 좌의정에 제수되었다. 1720년(경종 즉위년)에 고부청시사(告訃請諡使)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1721년 이건명(李健命)·김창집(金昌集)·조태채(趙泰采) 등과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세제 책봉을 성사시킨 뒤 대리청정을 요청하고 대리절목(代理節目)을 작성하여 올렸다. 이이명 등이 올린 대리절목은 소론 측 조태구(趙泰耈)의 반발로 회수되었고, 이후 김일경(金一鏡) 등의 탄핵으로 이이명은 남해에 위리안치되었다. 1722년 소론 측의 사주를 받은 목호룡(睦虎龍)의 거짓 고변으로 이이명은 유배지에서 사사되었다.

[학문과 저술]

이이명의 저술로는 문집인 『소재집(疎齋集)』을 비롯하여 『양역변통사의(良役變通私議)』, 『강역관계도설(疆域關係圖說)』, 『강도삼충전(江都三忠傳)』 등이 있다.

[묘소]

이이명의 묘소는 부여군 임천면 옥곡로20번길 34[옥곡리 314]에 있다. ‘임천 이이명 묘’라는 명칭으로 2015년 10월 30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27호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이명은 1725년(영조 1) 관작이 회복되고 충문(忠文)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1727년 관작이 추탈되고 시호가 회수되었다가, 1740년 다시 관작이 회복되고 1741년 시호가 회복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