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42
한자 兪勉曾
영어공식명칭 Yu Myeonjeung
이칭/별칭 유면회(兪勉會),상로(尙魯)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1년연표보기 - 유면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6년 - 유면증 증광시 진사 3등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7년 - 유면증 흥경원 천장 때 배설관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639년 6월 27일 - 유면증 평강현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41년 11월 22일 - 유면증 파출
활동 시기/일시 1643년 4월 6일 - 유면증 서용
출생지 부여현 - 충청남도 부여군
거주|이주지 부여현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단소 과천현 - 경기도 과천시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본관 기계(杞溪)
대표 관직|경력 평강현감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가계]

유면증(兪勉曾)[1571~?]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상로(尙魯)이다. 판서(判書) 경안공(景安公) 유여림(兪汝霖)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유대엄(兪大儼)이고, 어머니는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다. 부인은 군수 서집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氏)이다.

[활동 사항]

유면증은 1571년 부여현[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출생하였다. 1606년(선조 39)에 증광시 진사 3등 23위에 급제하였다. 젊어서부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27년(인조 5) 9월 16일 인조(仁祖)의 아버지 정원대군(定遠大君)의 묘인 흥경원(興慶園)을 천장(遷葬)할 때 배설관(排設官)으로 참여한 공으로 한 자급 가자(加資)되었다.

1639년 6월 27일 평강현감에 제수되었으나 1641년 11월 22일 재상(災傷)에 대한 보고에 착오가 심하다는 강원도도사의 서목(書目)에 의하여 파출되었다가 1643년 4월 6일 다시 등용되었다.

유면증은 『기계유씨족보』, 『인조실록(仁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사마방목(司馬榜目)』 등에는 ‘유면증(兪勉曾)’으로 기록되어 있고 『사계전서(沙溪全書)』 문인록에는 ‘유면회(兪勉會)’로 기록되어 있다. ‘유면회’와 ‘유면증’은 동일 인물로서 『사계전서』에 기록된 ‘유면회(兪勉會)’가 오자일 것으로 보인다.

[학문과 저술]

유면증이 남긴 저술로는 1616년과 1618년 지족당(知足堂) 박명부(朴明榑)에게 준 시 2편이 전한다.

[묘소]

『기계유씨족보』에는 유면증의 묘는 과천현[현 경기도 과천시] 동쪽에 있고, 유면증의 아버지 유대엄의 묘가 부여현 서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