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안국축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434
한자 安國祝願
영어공식명칭 Anguk Prayi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13일 - 「안국축원」 부여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부여군지』에 수록
채록지 교원리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역촌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지도보기
성격 무가
가창자/시연자 양정자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역촌 일대에서 국가와 개인 전반의 무사와 안녕을 빌 때 불렀던 무가.

[개설]

「안국축원(安國祝願)」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역촌 일대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전반에 걸친 무사와 안녕을 빌 때 불렀던 무가이다.

[채록/수집 상황]

「안국축원(安國祝願)」은 2003년 3월 13일 부여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부여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역촌의 양정자에게 채록한 내용이다.

[내용]

「안국축원」의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해수로는 시우년이요 달수로는 섣달 스무이틀 공수로다.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거한 가중한 양씨 대한 가중에 수북단으로 접어들어 삼천 삼경 천조대왕 팔보살림 천하 명기 둘어 작구 주리주춤 나리서서 수북단으롤 굽어살펴 주시사 태산북두 칠성단으로 접어들어 태산북두 칠월성군님은 세계 명기 둘러잡으시고 주리주춤 나리시어 칠성단으로 굽어살피시어 이구명산 산신령 전 이구면산 신령님 전 대도명산 산신령 전 대도명산 신령님 전 팔도명산 신선님 전에 천보산성 죽장 대신 전에 하우동심하셔서 팔도 명산 줄을 점이 주리주춤 나리시어 산신당으로 돌아 굽어살피소서. 좌우신령 좌우신령님 전에 일심으로 하우동심하옵시어 일원성신 성불성왕 전에 하강강림하시어 삼천삼경 천존대왕 삼대왕에 팔보살님 지우명령 나리시어 호구백마 신장님 전 오관천장 관운장님 일생사도 독선생님 세상사도 독선생님 남안존자 아니시며 일생사에 보살님 전에 일생충군 전에 일심으로 하우동심하올 때, 강원도 금강산 일만이천봉에 구암사에 팔만대장군님 전에 하우동시마오시고 천상옥경 태일 장군님이 아니시며 천상천하 백마장군님 전에 방방곡곡 방장군님은 동서남북 이십사방 방호수를 가르치고 만물지중 뜻을 이루는 장군님이 아니시오.(후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안국축원을 할 때 무당이나 법사가 아닌 구술자가 마을의 축원과 비손을 맡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안국축원을 할 때에는 별도의 제상을 차리지 않고, 자신의 집에 단을 차려 놓고 무사와 안녕을 기원한다.

[의의와 평가]

「안국축원」의 내용 중에는 무사와 안녕을 기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서 민속 신앙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또한 나라와 백성에 대한 기원이 등장하는데, 기원의 범위가 개인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국가 전반의 넓은 범위에 걸쳐 있음을 뜻하므로 대승적인 기원을 담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