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71
한자 鹽倉川
영어공식명칭 Yeomchangche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염창천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염창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 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5.88㎢[유역 면적]
길이 0.96㎞[하천 연장]|6.52㎞[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에서 발원하여 왕포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명칭 유래]

‘염창천(鹽倉川)’이라는 이름은 염창천이 발원하는 염창리에서 왔다. 염창리에 백제 시대 소금의 저장과 배급을 맡아보던 의염창(義鹽倉)이 있었다고 전한다.

[자연환경]

염창천왕포천과 더불어 부여읍 남쪽에서 범람원 지역 위를 흐르는 하천이다. 염창천의 북서쪽은 높이 127.1m 이하의 구릉성 산지가 유역 경계를 만들고 있고, 남서쪽에는 범람원[대왕펄]에 형성된 농경지가 분포한다. 염창천부여 궁남지(扶餘 宮南池)가 만나는 곳은 백제 사비 도성의 경계 지역이며, 염창천의 발원지는 백제의 시가지 외곽을 둘러싼 부여 나성(扶餘 羅城)의 마지막 지점에 해당한다.

[현황]

염창천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에서 발원하여 남쪽 범람원 지역 위를 흘러 왕포천과 만나 금강으로 흘러드는 금강의 제2지류이다.

염창천의 하천 연장은 총 0.96㎞이고, 유로 연장은 6.52㎞이며, 유역 면적은 5.88㎢이다. 하천 제방은 총 1.92㎞가 건설되어 있다. 염창천에는 총 2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는데, 어도가 설치되어 있는 보는 없다. 모두 2010년 1월 건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