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89
한자 兪大偁
영어공식명칭 Yu Daeching
이칭/별칭 경선(景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5년연표보기 - 유대칭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유대칭 청난원종공신에 녹훈
몰년 시기/일시 1634년연표보기 - 유대칭 사망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거주|이주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단소 규암 유대칭 묘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함양로94번길 40-9[함양리 산13-1]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기계(杞溪)
대표 관직 군자감첨정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유대칭(兪大偁)[1565~1634]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경선(景宣)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여림(兪汝霖)이고, 할아버지는 유진(兪縝)이다. 아버지는 유함(兪涵)이고, 어머니는 이희현(李希賢)의 딸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다. 형은 유대숙(兪大俶)·유대수(兪大脩)·유대경(兪大儆)·유대엄(兪大儼)이고, 동생은 유대우(兪大佑)이다. 부인은 한의(韓漪)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다.

[활동 사항]

유대칭은 1565년(명종 20)에 태어나 1603년(선조 36)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이후 1605년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청난원종공신(淸難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이어 경기전참봉에 제수되었다. 1607년 6월에는 충청도관찰사가 주관하여 개최한 공산성(公山城) 모임에 조익(趙翊)·이인백(李仁伯) 등과 함께 참여하기도 하였다.

광해군 대에 정치가 혼탁해지자 유대칭은 낙향하여 두문불출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사옹원참봉과 상의원별좌, 내자시주부, 통례원인의, 평시서령, 군자감첨정 등을 지냈다. 1634년(인조 12) 사망하였다.

[묘소]

유대칭의 묘소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함양로94번길 40-9[함양리 산13-1]에 있다. 유대칭의 묘소는 2016년 12월 7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33호 규암 유대칭 묘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유대칭은 사망한 뒤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