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11
한자 鄭時亨
영어공식명칭 Jeong Sihyeong
이칭/별칭 숙하(叔夏),반주(盤州)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19년연표보기 - 정시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57년 - 정시형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58년 - 정시형 의금부도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59년 - 정시형 도원찰방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2년 - 정시형 제용감직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4년 - 정시형 활인서별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7년 - 정시형 세자익위사 위솔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7년 - 정시형 공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7년 - 정시형 호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9년 - 정시형 공산현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71년 - 정시형 파직
활동 시기/일시 1672년 - 정시형 형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75년 - 정시형 해주목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99년연표보기 - 정시형 사망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공산 - 충청남도 공주시
부임|활동지 부평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임|활동지 해주 - 북한 황해도 해주시
부임|활동지 원주 - 강원도 원주시
부임|활동지 태인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성격 관료
성별 남성
본관 광주(光州)
대표 관직 한성부서윤|해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정시형(鄭時亨)[1619~1699]의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자는 숙하(叔夏), 호는 반주(盤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연(鄭演)이고, 할아버지는 정보문(鄭保門)이다. 아버지는 군수 정유(鄭維)이고, 어머니는 박한(朴澣)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유동발(柳東發)의 딸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다. 형은 정시원(鄭時元)이고, 동생은 정시무(鄭時武)·정시경(鄭時卿)·정시일(鄭時一)이다.

[활동 사항]

정시형은 1619년(광해군 11) 부여 임천(林川)[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1657년(효종 8)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58년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1659년(현종 즉위년) 도원찰방을 거쳐 1662년 제용감직장이 되었고, 1664년 활인서별제·사헌부감찰·형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667년 세자익위사위솔·공조좌랑·호조정랑을 지내고 1668년 면천군수에 제수되었으나, 호조의 요청에 따라 그대로 호조정랑에 머물렀다.

정시형은 1669년 공산현감과 공산판관을 지냈고, 1671년 파직된 뒤에 임천으로 낙향하였다가 곧 선혜청낭청에 임명되었다. 1672년 형조정랑을 거쳐 부평부사로 부임하였다. 1675년(숙종 1) 해주목사를 지낸 뒤 한성부판관·원주목사·태인현감·한성부서윤 등을 역임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고 나이도 70세에 이르자 관직에서 물러나 임천으로 낙향하였다. 1698년 수직(壽職)[해마다 정월에 80세 이상의 벼슬아치와 90세 이상의 백성에게 은전(恩典)으로 주던 벼슬]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제수되었고, 1699년에 사망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