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471 |
---|---|
한자 | 東湖洞[北區] |
영어공식명칭 | Dongho-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전영권 |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법정동.
동호동(東湖洞)은 대구광역시 북구 법정동 31개 중 하나이다.
자연 마을로는 동호, 서리골이 있다. 동호는 상지못(霜池못) 동편에 있어 생긴 지명이다. 서리골은 동호동 마을 형상이 한자의 서리 ‘상(霜)’과 비슷하며, 가을에는 서리도 많이 내린 탓에 유래된 지명이라 한다
덕산이씨(德山李氏) 문중이 동호동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전한다. 꿈을 꾼 후, 꿈에 본 장소를 찾아 서리가 내린 새벽에 못을 축조하여 못의 이름을 ‘상지못’이라 하였다. 상지못 동편에 마을이 위치하고 있어 ‘동호(東湖)’ 지명이 유래되었다.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1963년 대구시 북구 동호동,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동호동, 1995년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이 되었다. 동호동은 법정동이고 행정동은 동천동이다.
남쪽 일부만 팔거천(八莒川)에 연한 충적지를 보이는 동호동은 대체로 중생대 백악기 신동층군의 진주층[이암, 셰일, 사암, 역암 등으로 구성]과 하양층군의 칠곡층[이암, 셰일, 사암 등으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산지에 해당한다. 왼편으로는 북에서 남쪽으로 흘러 금호강(琴湖江)으로 합류하는 팔거천을 끼고 있다. 팔거천 일대는 팔거천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충적지가 분포하여 토지가 비옥하다.
동호동은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국우동·학정동 등지와 경계를 이룬다. 도덕산(道德山)[660.7m] 남동사면에 팔거천을 끼고 발달하며, 동의 남쪽 일대를 제외하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 동호동 한 가운데를 동서로 호국로가 통과하고, 남북으로는 팔거천동로와 지하철 3호선[칠곡경대병원역, 지하철 3호선 종점]이 통과하고 있어 남쪽으로의 접근성은 좋다.
주요 공공시설로는 대구체육고등학교, 대구체육중학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인재개발원, 경상북도 농업인회관 등이 있다. 동호동 451-1과 동호동 477 일대에서 청동기시대 생활유적이, 동호동 463-2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이 발굴되었다. 유교 건축물로는 도산재(道山齋)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