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206 |
---|---|
한자 | 大邱 十字道路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일수 |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 박중양이 주도하여 만든 대구 최초의 십자도로.
을사조약을 계기로 1906년 대구에 이사청이 설치된 이후 대구읍성이 헐리고 대구읍성이 헐린 자리에 순환도로가 조성되었다. 이어 경상감영 객사가 철거되었다. 그 뒤 경상북도 관찰부의 관찰사 박중양(朴重陽)은 시가지 간선도로 개설 사업을 벌이면서 경상감영을 관통하는 십자도로 건설에 나섰다.
대구 십자도로는 1909년 시가지 간선도로 개설 사업으로 조성되었다. 1908년 대구읍성을 허물고 만든 동성로, 남성로, 서성로, 동성로 등 도로와 연결되는 것이었다. 십자도로는 대구부청 앞에서 도청이 있는 포정동을 거쳐 서문로로 이어지는 동서선과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선으로 구성되었다.
대구 십자도로가 대구읍성 내 경상감영 내부를 동서남북으로 관통함에 따라 경상북도 관찰부 자리는 네 부분으로 갈라졌다. 경상감영의 맞은편에는 경북재판소, 서편에는 대구농공은행과 제일은행이 들어서고, 대구농공은행의 서쪽 건너편에는 대구경찰서가 들어섰다. 그 주변에는 제국재향군인회 대구지부, 적십자사 대구지부 등 일본의 관변단체가 자리 잡았다.
대구 십자도로의 건설을 추진한 박중양은 대구의 일본인 민회로부터 감사와 존경의 표시로 금줄이 달린 금시계를 선물 받았다. 대구의 일본인들은 박중양을 ‘대구의 은인’으로 치켜세웠다.
대구 십자도로의 개통은 일제의 대구 침탈에 따른 경북 관찰부[경상감영]의 변동과 훼손이 마무리되었음을 상징하는 일이었다. 이로써 조선조 경상감영의 설치 이래 경상도의 상징이었던 경북 관찰부[경상감영]의 위엄은 무너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