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987 |
---|---|
한자 | 嶺南第一關 |
영어공식명칭 | Yeongnam jeilgwan |
이칭/별칭 | 남문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만촌동 90]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세욱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736년![]() |
---|---|
훼손 시기/일시 | 1906년 - 영남제일관 해체 |
이전 시기/일시 | 1980년 - 영남제일관 망우공원에 중건 |
현 소재지 | 영남제일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만촌동 산90]![]() |
원소재지 | 영남제일관[대구읍성 남문]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35[동산동 357]![]() |
성격 | 성문 |
양식 | 익공계|겹처마|팔작지붕 |
관련 인물 | 민응수|박중양 |
크기(높이,길이,둘레) | 23m[높이]|8m[성벽 높이]|9m[성벽 폭]|52m[성벽 길이] |
면적 | 약 197㎡[59.8평] |
소유자 | 대구광역시 |
관리자 |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대구읍성의 남쪽 성문.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부사 민응수(閔應洙)[1684~1750]가 1736년(영조 12) 축성한 대구읍성의 남쪽 성문이다. 대구토성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여 석성(石城)으로 축성하면서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세웠는데, 남문의 다른 이름이 ‘영남제일관’이다. 영남제일관은 1906년 대구읍성과 함께 해체되었고, 1980년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중건되었다.
민응수는 “부산 동래에서 대구에 이르기까지 왜구의 침입로에 대비할 만한 축성이 한 군데도 없으니 만일 왜적이 쳐들어온다면 임진왜란이나 정유왜란처럼 온 나라가 큰 화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장계를 올렸다. 이후 1736년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대구읍성을 석성으로 축성하게 되었다. 이후 친일파 관찰사 서리 박중양(朴重陽)[1874~1959]이 일제의 요구에 따라 1906년 대구읍성을 허무는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대구읍성의 남문은 현재 남성로 홍백원 자리로 추정되며, 복원한 영남제일관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산90번지에 있다.
1980년 복원된 영남제일관은 중충문루[중층문루]에 팔작지붕을 얹어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을 되살리고 철근콘크리트로 현대적 감각을 살린 높이 23m, 연건평 약 197㎡[59.8평]의 2층 구조이다. 성벽은 높이 8m, 폭 9m, 길이 52m로 옥 무늬가 있는 화강암 분석으로 쌓아 장식하였다.
영남제일관은 1980년 복원되었으나 규모나 품격이 대구읍성의 남문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있다.
대구읍성은 관찰사 민응수가 장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세운 석성이지만 친일파에게 해체된 아이러니하고 아픈 역사를 살필 수 있는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