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가윗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3816
영어음역 Hangawinnal
영어의미역 Harvest Full Moon Festival
이칭/별칭 추석,중추절,가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시작시기/연도 신라
의례시기/일시 음력 8월 15일

[정의]

한국인의 대표명절인 음력 8월 15일.

[개설]

한가위는 한민족 고유의 보름명절로서 , 한식, 단오, 동지와 함께 민속명절로 이어지고 있다. 정월대보름과 함께 팔월한가위는 우리 민족의 2대 명절이며 보름주기의 세시명절로 민족상징의 달과 관련된 다양한 행사가 전승된다. 강릉 지역은 옛날부터 5개의 달이 뜬다고 전하는 경포대와 달이 정면으로 뜬다는 이름의 월대산[월정산] 달맞이가 유명하다.

[명칭유래]

한가위의 ‘한’은 크다는 의미를 갖는다. 가위는 ‘가배(嘉俳)’로서 그 의미는 가운데 중(中) 또는 반(半)으로 정월대보름날과 같이 큰 보름이라는 뜻이다. 또한 이날은 추수감사제의 성격을 갖고 있고 조상을 기리는 추원보본(追遠報本)의 사상에서 하늘신이나 조상에게 크게 갚는다는 뜻으로 갚을 보(報)에서 나왔다고도 할 수 있다.

여러 풍속지에서 언급되듯이 민간에서는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겼는데 만물이 성숙하여 수확이 멀지 않은 가절이므로 특별히 은혜를 갚는 뜻에서 중시하였다. 그러므로 이날을 신라 가배의 유래담에서 진편이 이긴 편에게 베푸는 잔치나 놀이로 ‘갚다’와 ‘값’[價]의 의미로도 해석된다.

[연원]

한가위는 신라 때부터 가배로 쓰였다. 중국의 문헌인 『수서』와 『구당서』「동이전」 신라조에서도 신라에서 8월 15일을 가장 중시하여 왕궁에서는 연회를 차리고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활쏘기를 하여 우수한 자에게 말이나 천을 상으로 주었다고 하였다. 한가위는 고대부터 달과 조상을 숭상한 습속에서 비롯되었는데 승 일연이 쓴 『삼국사기(三國史記)』 권1 유리이사금조에 의하면 신라 6부를 왕비가 둘로 나누어 7월 16일부터 길쌈경기를 하고 8월 15일에 평가하여 진 편에서는 술과 음식을 이긴 편에게 사례하고 「회소곡」이라는 노래를 불렀다고 하였다. 이렇게 집단적으로 달밤에 노래하고 춤을 추는 형태로 국가축제화한 길쌈풍속과 원초적 축제양식은 달맞이축제로 풍요를 기원한 제천의식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변천]

한가윗날의 경포대달맞이는 정초의 정동진해맞이와 함께 강릉 지역의 명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봄에는 경포벚꽂축제, 가을에는 경포대달맞이축제가 행해지는데 달맞이 행사는 강릉 일대 인근 야산에서도 행해진다.

[생활민속적 변천사항]

한가윗날은 민족최대의 명절로 민족대이동이 이루어진다. 경인지역에 사는 자녀들이 시골에 사는 부모를 찾아오는 인파가 많으므로, 요즘에는 시골의 부모가 서울에 사는 자녀에게 찾아가서 추석명절을 쇠는가하면, 유명한 콘도미디엄이 밀집한 관광지에서는 돈을 받고 차례상을 차려주거나 합동차례상을 만들어 놓고 손님을 끌기도 한다.

[절차]

한가윗날에는 햅쌀로 만든 송편과 햇과일을 차려놓고 조상께 차례를 올리고 낮에는 성묘를 다녀온다. 송편은 모양이 둥글게 하고 세 개의 손가락 자국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한가윗날에는 송편과 시루떡을 하거나, 멥쌀가루에 밤이나 대추, 검은콩, 호박고지, 곶감, 감고지 등을 넣어 섞어 찐 뭉생이떡을 먹는다. 토란국 대신 가을철에 나는 호박고지와 송이를 넣어서 만든 고지국과 송이국을 시절음식으로 만들어 먹는다.

[옷차림]

한가윗날에는 설빔과 같이 진솔옷을 입는데, 아이들은 때때옷으로 색동저고리와 풍차바지를 입는다. 요즘에는 간편하게 만든 생활한복을 입는 신세대가 늘고 있다.

[상차림]

한가윗날 차례상에 메(밥)는 자식이 높게 된다하여 고봉으로 올리고 햅곡으로 만든 송편, 햇과일을 홍동백서로 올린다. 유명한 사천갈골마을의 과줄도 높게 괴이며, 어촌에서는 동두서미로 명태를 기본으로 올리고, 가재미와 열갱이를 쪄서 쌓고, 문어를 위에 덮는다. 산촌에서는 봄철에 곰치, 고사리 등 산나물을 말렸다가 올리고, 소고기와 송이를 꿴 산적도 놓는다. 콩나물을 자손이 귀하다고 놓지 않고, 치자 든 생선도 올리지 않는다.

[현황]

한가윗날에는 아이들이 때때옷을 입고 성인남녀도 한복을 입는다. 강릉의 최씨, 김씨, 창령조씨강릉박씨 등 전통문중에서는 요즘도 추석에 모여 명절제사를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