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03 |
---|---|
한자 | 褒忠祠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한백 |
건립 시기/일시 | 1601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4년 5월 22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603년 - 포충사 '포충(褒忠)' 사액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8~1980년 - 포충사 유적정화사업 진행 |
현 소재지 | 포충사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 |
성격 | 사우 |
관리자 | 포충사 관리사무소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의병장 고경명 등을 배향한 사우.
포충사는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고경명(高敬命)[1533~1592]과 고경명의 아들인 고종후(高從厚)[1554~1593], 고인후(高因厚)[1561~1592] 및 금산전투에서 같이 순절한 유팽로(柳彭老)[1554~1592], 안영(安瑛)[1564~1592]을 배향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 서원과 사우 중에서 장성 필암서원과 함께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1868년, 고종 5] 때 훼철되지 않은 곳이다. 1601년(선조 34) 호남 지역 유학자들이 고경명 등을 기리기 위하여 지금 자리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1603년(선조 34) 박지효(朴之孝) 등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와 고경명의 후손들이 사액(賜額)을 청하여 조정에서 '포충(褒忠)'이란 이름을 받았다. 이후 수차례 중수가 되었다.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이 진행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갖추었다. 1974년 5월 22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에 있다.
포충사는 1601년 건립된 후 1603년 '포충(褒忠)' 사액을 받았으며, 1616년, 1618년, 1623년, 1810년, 1879년, 1919년, 1927년, 1933년, 1970~1974년 중수하였다.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을 통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포충사는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으로 신사우 구역과 구사우 구역로 나누어진다. 신사우 구역에는 사당인 포충사와 내삼문인 성인문(成仁門)이 있으며, 내삼문 앞에는 유물전시관인 정기관(正氣館)과 외삼문인 충효문이 있다. 구사우 구역은 신사우 구역의 서쪽에 있으며, 사당과 동재, 서재 및 내삼문, 외삼문이 있고, 입구에는 홍살문이 있다.
소장 자료로는 포충사우가(褒忠祠宇歌) 등 현판문 3매, 복호입안문서(復戶立案文書)와 고경명의 문과급제교지(1558) 등 고문서 6매, 고경명 친필 마상격문(馬上檄文), 『제봉집(霽峯集)』, 『정기록(精氣錄)』 등의 목판 493매가 있다. 포충사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며, 매년 4월 15일에 제향행사를 한다. 1974년 5월 22일에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 필암서원과 함께 광주전남 지역에서 훼철되지 않은 곳으로, 사우의 전통적 구조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광주 지역의 유학자들의 충절을 기리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