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795 |
---|---|
한자 | 光州女子大學校 |
영어공식명칭 | Kwangju Women's University |
이칭/별칭 | 광주여대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0[산정동 산 105-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연환 |
인가 시기/일시 | 1992년 1월 31일 - 광주여자전문대학 설립 인가 |
---|---|
인가 시기/일시 | 1996년 12월 11일 - 광주여자대학교로 설립 인가 |
개교 시기/일시 | 1992년 3월 25일![]() |
개교 시기/일시 | 1997년 3월 3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0년 3월 9일 - 광주여자대학교 양궁부 창단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월 11일 - 광주여자대학교 2020 사회공헌 우수기관 시장상 수상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기보배 양궁 국가대표[2012 런던올림픽 2관왕] |
최초 설립지 | 광주여자전문대학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0[산정동 산 105-1] |
현 소재지 | 광주여자대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0[산정동 산 105-1]![]() |
성격 | 사립대학교 |
설립자 | 오치석[학교법인 송강학원] |
전화 | 062-956-2500 |
홈페이지 | 광주여자대학교(https://www.kwu.ac.kr)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는 사립 대학.
광주여자대학교 교육 목표는 '효(孝), 지(知), 애(愛)의 여성 교육과 화(和), 진(眞), 선(善)의 미래 교육을 이념으로 지식·지혜가를 겸비한 여성 전문인 양성'에 있다.
1997년 3월 출범한 광주여자대학교는 초대 이사장 오치석이 1992년 1월 31일 학교법인 송강학원(松岡學園)을 광주여자전문대학으로 인가받아 1992년 3월 25일 개교[6개 학과, 학생 수 480명]하였고, 4년 만인 1996년 12월 11일 광주여자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97년 3월 3일 광주여자대학교로 개교하였다. 2000년 양궁부 창단 이래 2020년에도 국가대표 3명이 배출되었다. 2013년 9월 5일 제8대 이선재 총장이 취임하였다.
광주여자대학교는 교양 교육, 실무 중심 교육, 핵심역량 비교과 교육 강화 및 학습 선택권 확장을 위한 유연한 학사 운영을 실시하고 있다.
1. 교가[작사 이지엽/작곡 김정수]는 다음과 같다.
[1절] 새 날이 열리는가 어등산 기슭/ 진리가 함께 서는 배움의 전당/ 보아라 저 황룡강 푸른 물결이/ 반도를 차고 올라 온 누리 넘치네
[2절] 소망이 꽃피는가 동자붕 아래/ 한 땀씩 엮어 가는 예지의 수틀/ 보아라 저 다도해 푸른 노래가/ 하남을 흘러 넘쳐 온 세상 퍼지네
[3절] 사계가 예 있는가 무등 자락에/ 즈믄 길 불 밝히는 사랑의 요람/ 보아라 저 빛고을 푸른 마음이/ 영산강 밀쳐 올라 온 세계 흐르네
[후렴] 아 우리 모두 끌고 또 밀어/ 겨레의 영광 되리 광주여자대학교
2. 교목: 소나무로, 변치 않는 기상·품위를 의미한다.
3. 교화: 매화로, 아름다움, 냉정한 이성·지식을 상징한다.
4. 교조: 학으로, 여성의 품위, 민족의 기상을 의미한다.
'커리어우먼사관학교' 광주여자대학교는 2021년 대학정보공시 63.4%의 취업률을 달성하였다.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7.3명이며, 교육 기본 시설 면적 45.4㎡에 교원 131명[남 56명, 여 75명]과 직원 76명[남 43명, 여 33명]이 근무하고 있다. 2021년 광주대학교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7.3명이다. 재학생은 3,641명이며, 전임 교원은 306명[남 119명, 여 187명]이 근무하고 있다. 부속 및 부설 기관으로 산학협력단 등 19개 기관과 부설 연구소로 경영정보연구소 등 15개 연구소가 있다. 정부 기관 사업 기구로 대학혁신사업단과 지역혁신플랫폼사업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