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489 |
---|---|
한자 | 農場- |
영어공식명칭 | Nongjangdari Bridge |
이칭/별칭 | 동지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지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현명 |
준공 시기/일시 | 1908~1920년? - 농장다리 준공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73년 - 농장다리 재가설 |
전구간 | 농장다리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지산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농장다리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지산동![]() |
성격 | 교량 |
길이 | 9m |
차선 | 4차선[왕복] |
폭 | 20m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과 지산동을 연결하는 교량.
광주광역시 동구에 설치된 소교량으로 동명동과 지산동을 이어주며, 동명동과 지산동에 있는 푸른길공원을 가로질러 건널 수 있도록 가설된 교량이다.
농장다리의 정식 명칭은 동지교이다. 그러나 동지교라는 이름보다는 농장다리로 더 많이 부른다. 100여 년 전 동명동[동명2동 200번지]에는 광주교도소[1908년 건립]가 있었는데, 광주교도소에 갇혀 있던 재소자들은 대부분 의병 활동을 하다가 잡힌 사람들이었다. 광주교도소는 1971년 이전까지 재소자들에게 강제노역을 시켜 채소농장을 운영하였는데, 재소자들이 노역을 위하여 농장을 오고가면서 건너던 다리에 붙인 이름이 농장다리였다고 한다.
농장다리는 왕복 4차선으로 총 길이는 9m, 총 폭은 20m, 유효 폭 20m, 높이 4.5m이다. 경간 수는 1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9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PSC 슬래브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반중력식 교대이다. 설계하중은 DB-18이 적용된 2등교이다.
농장다리의 인근에 농장이 있었던 자리에 법원이 세워졌고, 교도소가 있던 자리는 광주광역시의 중심가가 되었다. 농장다리는 노후화로 1973년 재가설되었지만, 사람들에게 과거의 이름으로 불리며 원래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농장다리[동지교]는 1973년 재가설된 이후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