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432 |
---|---|
한자 | 文簡朴先生訥齋神道碑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사동길 60[서창동 125-2]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희태 |
건립 시기/일시 | 1859년 6월![]()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474년 - 박상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530년 - 박상 사망 |
현 소재지 |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 -
광주광역시 서구 사동길 60[서창동 125-2]![]() |
성격 | 비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박상 |
재질 | 돌 |
소유자 | 충주박씨종중 |
관리자 | 충주박씨종중 |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에 있는 조선 전기 눌재 박상의 신도비.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은 1501년(연산군 7)에 문과에 입격하였고, 중종 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상소하다가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학행이 뛰어나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은1859년(철종 10)에 조선 전기 문신인 박상의 묘소 입구에 세운 신도비이다.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에 있다.
방형의 높은 좌대 위에 비 몸을 세우고 한옥 지붕형 비 갓을 얹은 일반형 석비이다. 사방으로 보호책(保護柵)을 둘렀다.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의 비제는 "통정대부 나주목사 증 이조판서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 시 문간 박선생 눌재 신도비명(通政大夫羅州牧使贈吏曹判書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諡文簡朴先生訥齋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제액은 "통정대부 나주목사 증 이조판서 대제학 시 문간 박선생눌재신도비명(通政大夫羅州牧使贈吏曹判書大提學諡文簡朴先生訥齋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다. 사면에 걸쳐 비문이 있으며,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가 비문을 짓고 김병주(金炳㴤)가 글씨를 썼다.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은 전라도 광주 출신 눌재 박상의 행적과 후대의 추숭 활동에 관하여 알 수 있어 역사적, 향촌사적인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