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359 |
---|---|
한자 | 慶山郡誌 |
영어공식명칭 | 『Gyeongsan-gunji』 |
이칭/별칭 | 경산읍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은영 |
간행 시기/일시 | 1933년 - 『경산군지』 간행 |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
간행처 | 옥천서당 -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19길 13[중방동 852-3] |
성격 | 읍지 |
저자 | 이종현 |
편자 | 이종현 |
표제 | 경산군지(慶山郡誌) |
[정의]
1933년 간행된 경상북도 경산군의 읍지.
[개설]
『경산군지(慶山郡誌)』[1933]는 서상효(徐相孝)·서증수(徐曾洙)가 발의를 하고, 이종현(李鍾炫)이 집필과 편집을 담당하여 편찬하였다. 조선 시대 경산·하양·자인의 읍지를 계승한 최초의 통합 경산군(慶山郡) 읍지이다.
[편찬/간행 경위]
『경산군지』[1933]에 수록된 1933년 서상효·최준석(崔駿錫)이 작성한 서문과 이종현의 발문을 보면, 서상효·서증수 등은 평소 경산·하양·자인의 3개 고을이 경산군으로 합쳐진 후, 그 변화한 모습을 이어서 수보(修補)하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종현에게 의뢰하여 경산의 읍지를 편찬하게 되었다.
편찬 방향은 경산군·하양군·자인군이 경산군으로 합쳐진 만큼 기존의 읍지도 하나로 합쳐 간행하는 것이 마땅하므로, 통합 이전과 통합 이후의 변화를 함께 반영하기로 했다. 또한 선배들의 유풍(遺風)을 잇기 위하여 기존 읍지의 편목을 따르기로 하였다.
이후 총무에 서상효, 편집 겸 교정에 이종현, 도유사 겸 장재(掌財)에 서증수를 임명하고, 기타 도청(都廳)·도감(都監)·교정(校正)·감정(監正)·감인(監印)·찬의(贊議)·찬성원(贊成員)·서사(書寫)·수단유사(收單有司) 83명이 참여하였다. 간지(刊紙)를 보면 저작 겸 발행자는 이종현이며, 인쇄소는 경산인쇄소, 인쇄자는 박능준, 발행소는 옥천서당(玉川書堂)이다.
[서지/형태]
『경산군지』의 국립중앙도서관본 표제는 ‘경산군지(慶山郡誌)’이며, 내제는 ‘경산읍지(慶山邑誌)’이다. 책수는 6권 3책이며,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이다. 크기는 세로 28.6㎝, 가로 19.0㎝이며, 반곽은 세로 21.8㎝, 가로 15.3㎝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의 유계(有界)이며, 주는 쌍행,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경산군지』는 표제지 뒷면에 정오표(正誤表)가 첨부되어 있고, 권두(卷頭)에 1933년 찬술한 서상효와 최준석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서문에 이어서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군연혁(郡沿革)·군명(郡名)·군청위치(郡廳位置)·지세(地勢)·지계(地界)·관적(官蹟)·구군제(舊郡制)·풍속(風俗)·산천(山川)·향교급단원(鄕校及壇院)·사찰(寺刹)·고적급이문(古蹟及異聞)·누각(樓閣)·서적(書籍), 권2에 현군세(現郡勢)·향교급각소사적(鄕校及各所事蹟)·명소누대급사찰제영(名所樓臺及寺刹題詠)·구지성씨(舊誌姓氏)·관토성씨(貫土姓氏)·원자인복현사실(元慈仁復縣事實)을 수록하였다.
권3에는 과목(科目)·명신(名臣)·충의(忠義)·효행(孝行)·우애(友愛)·열행(烈行)·현원(賢媛), 권4에는 유행(儒行)·문원(文苑)·필원(筆苑)·음사(蔭仕)·수직(壽職)·증직(贈職)·자선급독지(慈善及篤志)·보유(補遺), 권5에는 성씨급거주(姓氏及居住), 권6에는 비문급갈명(碑文及碣銘)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권말(卷末)에는 이종현이 1933년 찬술한 발문과 군지를 편찬할 당시 참여한 임원들의 명단인 임원록(任員錄)을 수록하였다. 기술은 대체적으로 대항목 아래에 소항목을 두고 소항목에서는 다시금 원경산(元慶山)·원하양(元河陽)·원자인(元慈仁)으로 나누어 기술한 경우가 많다. 항목 중간에는 간혹 ‘안(按)’이라 하여 편자(編者)가 고증한 사실을 덧붙여 놓았다.
[의의와 평가]
『경산군지』는 경산·하양·자인 세 고을의 정보를 통합해서 간행한 첫 번째 읍지이다. 또한 대한제국 시절부터 1930년대 초반 일제 강점기에 이르기까지 경산 지역의 사회·경제상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