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049
영어공식명칭 Pass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개설]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고개에 대한 한자 이름은 여러 가지인데 영(嶺)은 대관령이나 진부령 같은 높은 큰 고개에 사용되었으며, 그 외에 아현·대현과 같은 현(峴)이나 팔량치·우금치처럼 치(峙)를 쓰기도 한다. 산지로 분리된 인접 지역 간의 교통에서 고개가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도보와 우마차에 주로 의지하던 시기에는 경사도보다는 최단거리 중심의 고개가 보다 더 중요하였다. 교통수단의 발달과 토목 기술의 향상으로 산지 교통로로서 고개의 기능과 중요성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등산로나 걷기 여행의 경로로 기능이 변모한 경우도 있으나 고속국도나 일반국도와 지방도, 그리고 철로상에서 여전히 중요한 교통망의 길목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고개가 연결하던 두 마을의 성쇠에 따라 이용 빈도가 줄어 이름으로만 남아 있는 고개도 많다.

[함양의 주요 고개]

함양군은 산간분지 지형으로 산지로 둘러싸인 형태이다. 군의 북쪽으로는 남덕유산에서 월봉산-금원산-기백산으로 이어지는 산지가 경상남도 거창군과의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남덕유산에서 할미봉-깃대봉- 백운산-삼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지가 전라북도 장수군과 남원시와의 경계를 이룬다. 군의 남쪽은 지리산 천왕봉에서 삼각봉까지 이어지는 연봉이 경상남도 하동군과 산청군과의 경계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산지에서 군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어지는 거망산-황석산 산지와 백운산-대봉산 산지, 삼봉산-법화산 산지가 군의 내부 지역의 경계를 이룬다. 산지가 주요 경계를 이루는 함양군에서 교통로로서 고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서로 연결하는 지역에 따라 ‘영남-호남’, ‘함양군-인접군’, 군내 ‘지역-지역’을 연결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함양군의 고개들은 연결하는 지역의 규모에 따라 도보 여행에서 자동차 교통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기능을 상실하거나 역할이 바뀌는 등 서로 다른 운명을 걷게 되었다.

함양군에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고개는 육십령팔량현이며 이 두 고개는 예로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로 도 경계를 이루고 있다. 육십령으로는 국도26호선이 지나며 통영대전고속도로육십령터널을 통해 이 구간을 통과한다. 팔량현 역시 국도24호선이 통과하고 광주대구고속국도가 고개의 북쪽을 통과하면서 동서 간 주요 교통로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함양군에서 인접한 군으로 연결되는 고개로는 경상남도 거창군으로 이어지는 남령관술령이 대표적이다. 남령은 현재 지방도37번이 고개 정상부를 따라 개통되어 과거로부터 지속적으로 함양군과 거창군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관술령과 같은 고개는 도보 여행에서 자동차 중심의 교통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교통로로서의 기능을 거의 상실한 상태이며 인접한 구간으로 새로이 개설된 국도26호선이 양 군 사이의 교통로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함양군 내에서 지역 간 교통로 역할을 담당했던 고개로는 오도재대황령이 대표적이다. 오도재는 옛날 내륙지방 사람들이 지리산 장터목과 벽소령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했던 고개로 남해와 하동의 물산들이 내륙지방으로 운송되던 육상 교역로였다. 현재 오도재 정상으로 지방도1023번이 통과하고, 함양군 함양읍에서 지리산 칠선계곡과 백무동계곡을 오르려면 오도재를 넘어야 한다.

현재의 대황령은 비포장 오솔길이 지나가는 고개로 고갯길이 넓은 편이지만 과거처럼 고개 양쪽 마을을 연결하는 교통로로서의 기능은 거의 상실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