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충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741
한자 朴忠佐
영어공식명칭 Park Chungjwa
이칭/별칭 자화,치암,문제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장혜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287년연표보기 - 박충좌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00년 - 박충좌,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45 - 박충좌, 판전민도감사·찬성사·판삼사사 역임
몰년 시기/일시 1349년연표보기 - 박충좌 사망
추모 시기/일시 1347년 - 박충좌, 시호로 ‘문제’를 하사 받음
추모 시기/일시 1568년 - 박충좌, 금곡서원에 배향
출생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 지도보기
묘소|단소 대로마을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대남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금곡서원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금당실길 170-7[상금곡리 656]
사당|배향지 난곡사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난음로 219번길 7-14[이동면 난음리 910]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함양
대표 관직|경력 내서사인|밀직제학|개성부윤|판전민도감사|찬성사|판삼사사

[정의]

고려 후기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 출신 성리학자이자 문신.

[가계]

박충좌(朴忠佐)[1287~1349]의 자는 자화(子華), 호는 치암(恥菴)이다.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할아버지는 위위윤(衞尉尹)을 지낸 박지빈(朴之彬), 아버지는 군부총랑(軍簿摠郞)을 지낸 박장(朴莊)이다. 슬하에 박소(朴玿), 박정(朴珽), 박경(朴瓊), 박번(朴璠), 박여(朴璵)를 두었다.

[활동 사항]

고려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전라도 안렴사(按廉使)로 재임할 당시 박연(朴連)이 양민을 노예로 삼으려 하는 것을 막으려다 무고(誣告) 당하여 섬에 유배되었다. 나중에 풀려나온 뒤 감찰지평(監察持平), 예문응교(藝文應敎)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 후 내서사인(內書舍人), 밀직제학(密直提學), 개성부윤(開城府尹)을 역임하였다. 충목왕이 즉위하자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가 되어 개혁을 추진하였고, 이어 찬성사(贊成事)와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하였다. 충선왕이 세자일 때 원나라 연경에 세운 독서당인 만권당(萬券堂)에서 이제현(李齊賢)[1287~1367], 박충좌, 백이정(白頤正)[1247~1323]이 원나라의 석학들과 교류하고 연구하면서 성리학의 학문 체계를 정립하였다. 박충좌는 이제현과 함께 백이정의 문하생으로 활동하였으며, 백이정이 경상남도 남해에 유배되었을 때도 스승과 함께 지내며 백이정을 극진히 모셨다.

[학문과 저술]

충목왕 때 찬성사가 되어 왕에게 군주의 도리와 인재 등용 등 내용을 담은 『정관정요(貞觀政要)』를 강론하였으며, 고려 말기에 수입된 정주학(程朱學)을 계승하였다.

[묘소]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대남리 대로(大蘆)마을에 있다.

[상훈과 추모]

충목왕 시기에 순성보덕협찬공신(純誠輔德協贊功臣)의 호를 하사받고, 정1품 공신에게 주는 작호인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에 봉하여졌다. 1347년(충목왕 3)에 시호로 문제(文齊)를 하사받았다. 조선 시대에는 1568년(선조 1)에 지방 유림들이 뜻을 모아 경상북도 예천군에 금곡서원을 세우고 박충좌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현재 경상남도 남해군 난곡사(蘭谷祠)에서도 백이정, 이제현, 박충좌를 배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