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진주에 있었던 기생조합. 조선시대의 기생제도 하에서 기생은 관기(官妓)로서 궁중의 약방이나 상의원(尙衣院 : 왕의 의복이나 궁중의 일용품을 맡던 관부) 등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평소에는 약을 달이거나 바느질을 하다가 연회가 있을 때는 불려가 노래나 춤을 추었다. 국권을 상실한 후 관기제도가 없어지면서 서울의 기생들이 처음으로 조합을 결성하였는데, 이것이 한성권번(漢城券番...
진주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진주한량무(晋州閑良舞)는 1979년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민속무용으로 우리나라 춤 중에서 내용의 줄거리를 이해할 수 있는 최초의 무용극이다. 진주한량무의 주요 등장인물은 한량, 승려, 색시, 주모, 별감, 상좌, 마당쇠이며 여기에 악사가 함께한다. 배역에 따라 성격이 다른 춤사위와 옷차림으로 구성되며, 음악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