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398
한자 舊石器時代
영어의미역 Paleolithic 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선사/석기
집필자 정의도

[정의]

약 300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의 시기로 인류의 발달과정을 도구제작 기술의 발달로 구분할 때 가장 이른 시기.

[개설]

구석기시대는 지질학적인 연구와 이 시기에 살았던 동·식물상의 연구를 배경으로, 각 시기마다 사용된 도구 즉, 석기를 중심으로 하여 전기·중기·후기 구석기시대로 나누어진다.

전기 구석기시대는 인류가 처음 연모를 사용한 때부터 약 12만 년 전의 마지막 간빙기가 시작되는 시기까지이다. 이 시대의 연모는 석기제작기술의 초보 단계에 있던 남쪽원숭사람(Australopithecus)의 무리가 찍개를 만들어 쓴 데서 비롯하여, 180만 년 전 쯤에 곧선사람(Homo erectus)이 출현하면서 좀 더 발달된 연모인 주먹도끼를 만들어 쓰게 되었다.

중기 구석기시대(약 12만 년 전~3만 5천 년 전)에는 슬기사람(Homo sapiens)이 나타나면서 석기 제작방법이 혁신되었다. 이 시기에는 연모의 가지 수가 더 많아지고 더욱 정교하게 만들어지는데, 주먹도끼·뚜르개·찍개·자르개·긁개·톱날·홈날·대패모양석기 등과 같은 훌륭한 연모들이 만들어진다.

후기 구석기시대(약 3만 5천 년 전~1만 2천 년 전)는 네안데르탈인사람들과의 생존경쟁에서 승리한 슬기슬기사람(Homo sapiens sapiens)문화로, 이들은 이전의 인류보다 지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수준이 훨씬 우수하여 새기개·돌날·좀돌날몸돌 등의 석기를 제작·사용하였으며, 예술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문화수준을 가지게 되었다.

[진주의 구석기시대 유적]

구석기시대에 진주를 포함한 서부경상남도 지역에서도 인류가 살았던 흔적이 여러 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다만 진주지역에는 구석기시대 이른 시기부터 사람들이 살았던 것이 아니라 중간시기, 즉 중기 구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진주지역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구석기시대 유적은 세 곳인데, 이 가운데 한 곳은 발굴 조사되었으며, 다른 한 곳은 1점의 깬 석기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곳이 구석기시대의 유적인지 아닌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먼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대평면 내촌리 유적이다. 진주지역의 대표적인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대평면 내촌리 유적은 남강댐 건설공사로 수몰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한양대학교 박물관이 1997년 2월부터 여름까지 긴급하게 조사했다. 이곳은 잔디밭 조성을 위해 능선을 중장비로 깎아 긴 단애가 형성되었는데, 다행히 구석기시대의 홍적세 제4기층이 노출되어 있어서 이 지역이 구석기시대 유적지임이 증명되었다. 주변에서는 구석기시대 석기로 추정되는 석영암제의 수많은 석기들이 발견되었고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석기만 가지고는 유적의 시기와 성격을 밝혀내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구석기 유적의 다른 한 곳은 대곡면 마진리 유적이다. 이곳은 경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확인만 되었을 뿐 아직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유적은 마진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동쪽으로 흘러가는 남강을 가로막듯이 남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야산의 정상부에 있으며, 채집된 유물은 대체로 몸돌석기들이다. 따라서 이 유적은 구석기시대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석기의 형태만 가지고 연대와 성격을 판단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 유적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루어질 발굴조사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또한 지수면 청계리 임계마을의 야산에서도 짜르개가 1점 채집되었다. 그러나 남강을 사이에 두고 마진리 유적과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마진리 유적을 남겨 놓았던 구석기인들이 이곳에까지 활동하면서 석기를 남겨놓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있는지 없는지조차 분명하게 알 수 없다.

결국 진주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은 남강변에 자리하면서 진주시의 동과 서에서 모두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넓은 지역에서도 더 많은 유적들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의의와 평가]

진주지역의 구석기인들은 어느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러 살면서 집을 짓고 농사를 지었던 것은 아니며, 단순히 배를 채우기 위해 먹을 것을 찾아서 끊임없이 옮겨 다니면서 살았던 흔적만 몇 군데 남겨 놓았다. 따라서 그들이 어떤 형태의 집에 살았으며, 가족의 수는 몇 명이었고, 죽음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 없다. 따라서 현재까지 채집된 자료를 가지고 이 유적의 구석기문화 성격을 파악하기에는 자료가 미흡한 편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 내촌리의 제4기층에 대한 확대된 조사가 필요하며, 유물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면을 찾아서 석기공작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