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418
한자 貴谷洞遺蹟
영어음역 Gwigok-dong Yujeok
영어의미역 Archaeological Site in Gwigok-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 귀동마을 산 66-19지도보기
시대 선사/청동기,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류창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생활유적|무덤|고분
소재지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 귀동마을 산 66-19번지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의 유적이 중첩되어 있는 복합유적.

[위치]

귀곡동 유적의 위치는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 귀곡마을 산66-19 일대였다.

[발굴조사경위]

귀곡동 유적은 남강댐 보강공사에 따른 수몰지역으로 1992년 경상대학교박물관의 지표조사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다. 1997년에 경상남도 남강댐건설사업소에서는 유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몰지역의 확대에 따른 문화유적의 훼손에 앞서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 발굴조사를 요청하였으며, 이에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서는 귀곡동 유적의 성격규명을 위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발굴기간은 1997년 1월 10일부터 2월 16일까지 총 38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조사면적은 7,812㎡(약 2,367평)로 진양호 수면에 인접한 구릉의 경사면이다.

[발굴결과]

청동기시대의 생활유적과 삼국시대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이 중 청동기시대의 생활유적은 상습적인 침수로 인해 대부분 유실되고 유물만 남아 있으며, 삼국시대의 유적에서는 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竪穴式石槨墓)] 2기와 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橫穴式石室墓)] 1기가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孔列土器)]·돌끌[석착(石鑿)]·반달돌칼[반월형석도(半月形石刀)] 등의 청동기시대 유물을 비롯하여 가야토기·신라토기·손칼·재갈 등의 삼국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황]

유적은 수몰되었으며, 출토유물은 현재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의 유적이 중첩되어 있는 복합유적으로 주목되며, 특히 진양호 연안에서 유례가 드문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 및 이들 무덤에서 출토된 가야토기와 신라토기는 남강유역의 고분문화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