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037
한자 放送
영어음역 bangsong
영어의미역 broadcasting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원숙경

[정의]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매체를 통해 널리 듣고 볼 수 있도록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개설]

「방송법」 2조 1항에 의하면, 방송은 프로그램을 기획, 편성, 제작하고, 이를 공중(시청자)에게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방송을 목적으로 지상의 무선국을 이용하여 행하는 지상파방송, 전송·선로 설비를 이용하여 행하는 다채널방송인 종합유선방송, 인공위성의 무선국을 이용하여 행하는 위성방송으로 구분하고 있다. 전파를 이용하는 점에서는 다른 무선국과 같으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이고, 목적이 매스미디어의 일반적 기능인 보도·교육·오락 등의 제공에 있다는 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무선통신이 방송의 하나의 특성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기존 방송의 확산을 위한 유선방송도 내용이 같을 때에는 역시 방송이라 부른다. 방송은 말단의 표시 형태에 따라 음성을 중심으로 한 라디오 방송과 음성과 영상(映像)을 전달하는 텔레비전 방송으로 대별된다. 사용되는 주파수대에 따라서는 표준방송·단파방송·초단파방송 등으로 분류된다. 표준방송은 535~1605㎑의 중파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파방송이라고도 하며, 이것이 보통 말하는 라디오방송이다. 라디오방송은 변조방식에 따라 AM(진폭변조)방송과 FM(주파수변조)방송으로 구별한다. 우리나라는 공영방송이 주축이며,KBS는 시청료와 광고료, MBC는 광고료로 운영된다. 민영방송은 SBS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교방송과 교육방송 등 갈수록 그 수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방송은 1927년 2월 16일 사단법인 경인방송국이 호출부호 JODK로 첫 방송한 것이 효시이다. 1932년 조선방송협회로 개편되어 광복 당시까지 전국에 17개의 지방방송국이 개설되었다.

[변천]

진주지역에 정상적인 방송이 시작된 것은 1962년 12월 23일 KBS 진주중계소가 개소되면서부터이다. 그때까지 방송의 혜택을 받지 못했던 진주지방 사람들에게 KBS 진주방송국의 출현은 생활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진주에 방송국을 설립하려는 움직임은 일제강점기부터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무산되었다. 해방이 되고도 당시 사회적 여건이 허락되지 않았지만, 1957년 9월 KBS가 차량을 이용한 이동방송국이 진주에 잠시 운용된 적이 있었다. 그러다 5·16군사정변 이후 군사정부에 의해 호출부호 HLCJ로 방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당시 출력이 1Kw에 불과해 진주시내에서도 변두리지역은 방송의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없었다.

처음 1,000여 대도 미치지 못했던 진주의 라디오 보유대수는 KBS 중계소 개소 이후인 1964년 2,776대로 늘어났고, 1965년 4,010대, 1966년 5,652대로, 당시 진주의 가구수가 19,000세대인 것을 감안할 때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엄청난 증가세였다. 또한 이 시기에 유선방송국도 같이 등장하게 되는데, 당시 대표적인 유선방송국으로는 진주문화방송사가 있었다. 이 유선방송은 간단한 공지사항과 큰 행사의 중계까지 하는 등 방송국 구실을 했다.

1970년부터는 진주에서도 민간방송이 출현하게 되었다. 1968년 5월 31일 설립된 MBC 방송사가 그것이다. 진주지역의 유지들을 중심으로 설립이 추진된 이 방송사는 진주지역의 본격적인 상업방송이 가능하게 해주었다. 당시 민간방송의 출현은 시민들의 생활에도 많이 영향을 가져다주었다. 상품광고가 나오면서 일상적인 정보 외에 생활정보를 접하게 되어 상품구매의 형태가 달라졌으며, 가요대전, 임해공개방송, 전화에 의한 노래신청 등 많은 자체방송프로가 탄생하면서 청취자들이 직접 방송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때쯤부터 진주지역에서도 텔레비전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1960년대 말 진주의 전파상모임인 RTV협회(라디오·TV상 단체)가 망경산에 무선중계시설을 하고 부산의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을 진주에 전달하게 되었다. 물론 이 시설은 불법이었지만, 전파관리당국에서 묵인해주었다. 당시 진주지역 사람들의 TV시청 욕구를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진주지역의 텔레비전방송은 비정상적인 형태로 시작되었으나 텔레비전 수상기의 보급이 늘어나자 유선방송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연대별로 텔레비전 보유수를 보면, 1969년 325대, 1973년에는 5,064대, 1985년대에는 53,618대로 라디오 보유대수 53,614대를 앞서기 시작했다. 진주의 양대 방송이 아직 텔레비전방송을 시작하지 않았던 때에 텔레비전 보유수가 3만 7천여 대나 되었다. 본격적으로 진주지역에서 방송을 시작한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야말로 방송의 시대가 진주에서도 개막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진주KBS의 텔레비전중계소가 개소되면서 깨끗한 화면으로 시청자들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으며, 1986년에 들어서 진주지역에서도 종합적인 모든 방송의 혜택을 보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케이블 텔레비전이 들어오게 된 것은 1991년부터이다. 1991년 시험방송을 마친 케이블 텔레비전이 1994년 본격적으로 방영되게 됨에 따라 사회적·문화적·교육적인 방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즐길 수 있는 방송환경이 마련되었다. 진주지역에서는 이보다 조금 늦게 1997년 본격적인 케이블 방송시대로 들어서게 되어 다양한 정보와 전문화된 채널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현황]

현재 진주지역에는 지상파방송국인 KBS와 MBC, 그리고 케이블 방송사인 서경방송, 중계방송사인 금곡유선방송사·대성유선방송사 등 총 19개의 방송국이 있다. 이러한 방송사의 활동으로 진주지역의 방송은 공동체의식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정보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정** 저는정지나대표연기대상준비해요홈쇼핑 2019.06.1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