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8]의 시문과 그에 관한 글을 모은 것. 하진 의 자는 진백(晉伯) , 호는 태계(台溪) 이다. 1624년(인조 2)에 진사가 되고 증광시(增廣試)에 갑과(甲科)로 급...· 대관 · 범운 등이 편집·간행하였으며, 1728년(영조 4)에 중간되었다. 태계선생문집 책판은 총174장에 달하는 목판본으로 진양하씨 종가 태계정 에 보관되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 . 자는 진백(晉伯) , 호는 태계(台溪) . 대사간 하결(河潔) 의 후손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에 급제하였고, 1633...(文科條)」와 『증보 진양속지(晋陽續誌)』 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저서로는 태계집(台溪集) 4권이 있다. 경상남도 하동 의 종천서원(宗川書院) 에 배향되었다.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진주 . 자는 청백(淸伯) , 호는 초정(草亭) . 태계(台溪) 하진(河溍) [1597~1658]의 계제(季弟)이다.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 을 따라 학문에 정진하였는데, 그 재주가 일찍부터 뛰어나 장래가 촉망되었다. 그러나 명 나라가 망하자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고, 두 형과 더불...
-
...의(子義) , 호는 추담(秋潭) . 포은 정몽주(鄭夢周) 의 후손이다. 일찍부터 행실이 바르고 학식이 넉넉하였으며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 , 태계(台溪) 하진(河溍) 과 더불어 도의의 사귐을 가졌다. 그의 아들 정례 도 또한 하홍도 를 스승으로 섬겨 재예가 뛰어났으며 진사에 합격하였다. 『진양속지(晋陽續...
-
...) 이다. 『진양속지(晋陽續誌)』 권2「유행조(儒行條)」에 따르면, 진사에 합격하고 호남으로부터 침곡(針谷) 으로 옮겨와서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 , 태계(台溪) 하진(河溍) , 학포(學圃) 정훤(鄭暄) 와 더불어 교유하면서 학문을 연마하고 문장을 서로 지어 주고받아 시문(詩文)이 제현(諸賢)의 문집 가운데서 ...
-
...된 도리를 다하였고, 홀어머니를 봉양할 때 항상 마음을 즐겁게 해드렸고, 늙어서도 변치 않고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81세가 되자 장수연을 베풀었는데, 여러 고을에서 축하객들이 모여 들어 성황을 이루었다. 태계(台溪) 하진(河溍) 이 서(序)를 지어 이를 기록하였다. 그의 나이 70에 모친상을 당하였으나 죽을 먹으며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
...을 관통하여 지나고 있다. 현재 신촌 , 관지 , 삭평 3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관지리 에는 명석면사무소 , 명석중학교 등의 시설이 위치하여 명석면 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1호 태계선생문집책판(台溪先生文集冊板) 등의 문화재와 함께 주요 사찰로는 용산사 가 소재하고 있다.
-
...(河溍) 의 묘비. 하진(河溍) [1597~1658]은 본관이 진주 , 호가 태계(台溪) 이다. 1633년 문과에 올라 집의(執義)를 지냈다. 하진 묘비 는 167... 앞에 있다. 얕은 지대석 위에 비신을 세웠으며, 뚜껑돌은 생략하였다. 전면의 ‘집의태계하공지묘(執義台溪河公之墓)' 제하에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 미...
-
... 걸려있다. 9편의 시의 작자는 면재 정을보 , 경재 하연 , 태계 하진 , 우곡 정이오 , 조은 한몽삼 한사 ... 만약에 여기 올라 좋은 자취 남기려면 아름다운 글을 지어 우리 고을 적어 3. 태계 하진 의 시는 다음과 같다. 滿目兵塵暗九區 一聲長笛獨憑樓 孤城返照紅將斂 ...
-
조선 후기의 문신 하진(河溍) 의 상소문. 하진 은 호가 태계(台溪) 이고, 본관은 진양 이다. 이 상소문은 하진 [1597~1658]이 나라에 올린 상소문으로 우국충정(憂國衷情)의 간절한 심정이 담긴 고문서이다. 하진 상소문 에는 사회 상황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어, 당시의 사회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