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522 |
---|---|
영어의미역 | Vegetables Song |
이칭/별칭 | 나물캐기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 |
집필자 | 정규식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에 전해오는 봄에 나물을 캐러 가서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
임산물채취요 중에서도 나물캐는소리에 해당한다. 나물캐는소리는 나물의 이름과 모양, 색깔, 쓰임새 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것과 소리나 의미를 소재로 하여 언어 유희를 표현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80년 8월 4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4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조초악(여, 67세)이다.
미나리 짐치담아서 메서방이 다묵고
쪼가리 짐치담아서 쪼서방이 다묵고
돈내이 짐치담아서 도서방이 다묵고
국한빨 남았네 도실이가 홀짝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