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700 |
---|---|
한자 | 晋州大川里立石 |
영어음역 | Jinyang-gun Daecheon-ri Ipseok |
영어의미역 | Menhir in Daecheon-ri, Jinyang-gun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242![]() ![]() |
시대 | 선사/석기,선사/청동기 |
집필자 | 정의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0년 12월 2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진주 대천리 입석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입석 |
높이 | 2.7~2.75m |
둘레 | 80㎝|95㎝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242|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254-6 |
소유자 | 경상남도 진주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에 있는 선돌.
대천리 선돌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중엽 경 반촌[현 대동마을]에서 민촌[하촌마을] 방향으로 두 개의 돌이 걸어가고 있었는데 부엌에서 밥을 짓고 있던 반촌마을의 처녀가 이를 발견하고 막대기로 마당을 치자 돌이 현 위치에 멈추게 되었다고 한다. 1990년 12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242와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254-6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성면 소재지에서 마산시 진전면으로 가는 2번 국도에서 가선리로 들어가는 도로변에 형성되어 있는 들판에 위치하고 있다.
입석은 2기가 남아 있는데 남쪽의 입석은 높이 2.7m, 너비 95㎝, 두께가 45㎝이고, 비스듬히 쓰러져 있는 북쪽 입석은 높이 2.75m, 너비 80㎝, 두께 50㎝ 정도로 거의 같은 크기로 제작되어 같은 시기에 제작·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남북으로 2기가 서 있다.
현재 논 가운데 서 있어 보호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