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709 |
---|---|
한자 | 大坪當村里堂祭 |
이칭/별칭 | 사평당산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 |
집필자 | 편세영 |
성격 | 당제 |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 |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의 당제.
1963년 황씨 할머니(73세)에게 들은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마을사람으로 구성하는 당제계(堂祭契)가 있고 마을마다 제례위원이 구성되어 있어 모든 행사를 진행했다. 당제의 관리 운영을 목적으로 계원은 1년에 쌀 3되를 낸다.
대평면은 예부터 농경문화의 중심지 BC 1~3세기 전부터 농경문화가 형성된 곳으로 전한다. 그래서 윗마을을 상촌, 아래 마을을 하촌, 가운데 있는 마을 중촌이라 하였는데 당제가 있다고 하여 당촌이라 불렸다.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 중촌에 있었다.
음력 정월 보름날 새벽에 마을 대표가 당재에 모여 농사가 잘 되고 돌림병 없이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제례를 올렸다. 제물 음식은 분가하여 첫 살림을 차린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을 선택하여 마련하게 한다. 제기(祭器)는 주최 측에서 매년 새로운 것으로 마련하되 제례가 끝나면 음식을 마련한 집에 준다고 한다. 단 상주, 임신, 병환 등 불길한 자는 참여가 불가능하다, 제례음식 준비를 위해 시장에 가더라도 외상, 물건가격 깎기를 금하였다고 하며 남과의 만남, 부부관계 등을 제한했다고 한다. 생선이나 육류는 쓰지 않고 통돼지를 제물로 썼다.
제례가 끝나면 물 관리와 두레품앗이, 무종자씨 등 금년 농사일을 의논하여 결정하며 마을에 돌아가 전하고 낮에 함께 모여 소싸움, 돌팔매질, 놀이사합으로 승부를 가리고 함께 즐겼다.
1962년 남강댐 공사로 완전 수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