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761 |
---|---|
한자 | 晋州道統祠 |
영어음역 | Dotongsa Shrine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724[내축로577번길 29-9]![]()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수덕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3년 7월 2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진주 도통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사당 |
양식 | 목조와가 |
건립시기/일시 | 1889년![]() |
관련인물 | 공자|주자|안자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1칸 |
층수 | 1층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724번지[내축로577번길 29-9] |
소유자 | 경상남도 진주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에 있는 재실.
공자를 중심으로 주자와 안자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1889년에 창설하여 공자를 주벽(主壁)으로 주자를 배향(配享)하고 안자를 종향(從享)하고 영정(影幀)을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8월 27일 공부자 탄신일에 제향(祭享)을 행하고 있다.
원래 대평면 하촌리 547-2번지에 소재하던 것을 남강댐 숭상공사로 인해 1995년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대평면 하촌리에 있었던 진주 도통사는 1889년에 건립되었다.
건물은 진주 도통사, 동문당, 연산재, 광명각이 있고, 계동문(啓東門)과 태극문(太極門)이 있다. 진주 도통사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