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779 |
---|---|
한자 | 鄭堉旌孝碑 |
영어음역 | Jeong Yuk Jeonghyobi |
영어의미역 | Monument to the Filial Piety of Jeong Yuk |
이칭/별칭 | 동몽교관조봉대부역효당정효비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강병주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용암리에 있는, 동몽교관 역효당(亦囂堂) 정육의 효행을 기록하여 세운 정려비.
정식명칭은 ‘동몽교관조봉대부역효당정효비(童蒙敎官朝奉大夫亦囂堂旌孝碑)’로, 1892년(고종 29) 고종황제가 효자 정육의 효행을 기려 동몽교관 조봉대부에 증직하고 정려를 내린 내용을 새긴 비이다.
정육의 5세손 정영석이 나라로부터 정려를 받은 은덕을 드러내고자 1942년 임오년 청명절에 정창석과 힘을 합하여 세웠다. 수양(首陽) 오진영(吳震泳)이 비문을 찬하고, 허문구(許汶九)가 글씨를 썼다.
용암리 본동마을에 있다.
비는 오석의 화강암으로 높이 159㎝, 너비 53㎝, 두께 25㎝이다. 비의 받침돌은 사각형의 형태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둥글게 되었고, 비는 직육면체로 하여 비의 머릿돌은 기와지붕 형태를 하고 있다.
정육의 효행이 지극하였고, 어머니상을 당하여 지극한 예를 다한 나머지 생명이 위태로움에 이르렀고, 다시 아버지상을 당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예를 다하여 마침내 상이 끝난 지 수개월 후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원근의 선비들이 정려를 요청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월이 흐른 뒤 고종황제에 이르러 정려를 받았다는 내용이다.
비의 받침돌과 비, 그리고 덮개돌로 세워진 비석을 사방으로 벽돌을 쌓아 보호를 하고 있다. 해주정씨 불우헌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