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망깨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853
영어의미역 Ground Levelling Song
이칭/별칭 말뚝박기 노래,망깨요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창촌리 구리마을
집필자 박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
기능구분 노동요|잡역노동요|토목노동요
형식구분 선후창
가창시기 저수지의 둑이나 논둑에 망깨로 말뚝을 박을 때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창촌리에 전승되는 민요.

[개설]

망깨소리는 망깨로 말뚝을 박는 일이 드물게 되면서 점차 듣기 힘든 노래가 되었다. 진양군 일반성면 창촌리에서 채록된 망깨소리는 잊혀져 가는 소리를 채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데, 잘 부르지 않는 노래가 됨에 따라 제보자가 힘들게 기억해서 부르다 보니 사설이 끊기기도 해서 아쉬운 점이 있다. 노래는 선후창의 형식으로 부른다.

[채록/수집상황]

1980년 8월 7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일반성면 창촌리 구리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8-4에 수록되었다. 망깨노래 (1)의 구연자는 김말룡[남, 당시 74세]이고, 망깨노래 (2)의 구연자는 옥기봉[남, 당시 72세]이다.

[구성]

창촌리에서 채록된 망깨소리는 선소리를 메기면 “어이여라 차-하-”로 받는다. 지역에 따라 “에헤-라 망깨요”라고 부르기도 한다. 말뚝을 박기 위해 망깨를 힘차게 내리칠 때 행동을 통일하고 힘을 합치기 위해 받는 소리를 한다. 처음에 메기는 선소리는 망깨로 말뚝을 박는 행위를 직접 나타내는 사설인데, 일이 진행되면서 장가를 가고 싶은 소망을 나타내기도 하고 부귀영화를 소망하는 사설을 부르기도 한다.

[형식]

선소리꾼이 먼저 “어이여라 차-하-”를 메기면 뒷소리꾼들이 같은 소리로 받으며 시작된다. 그 다음 선소리꾼이 2음보(마디)나 3음보로 된 사설을 메기면 뒷소리꾼들이 “어이여라 차-하-”로 받는다. 망깨 소리는 이와 같이 선후창의 형식으로 부른다.

[가사]

(노래 1)

어이여라 채~해~

어이여라 채~해~

어이여라 채~해~

천근망깨는 공중에노네

어이여라 차~하~

열두자말목을 박고보니

어이여라 차~하~

열두자목이 다들어가맨

우러이연장도 들어가노

어이여라 차~하~

옥꾼옥꾼(힘을 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줄땡기주소

어이여라 차~하~

한목일심을(한꺼번에 한 마음으로) 땡기주소

어이여라 차~하~

망깨소리를 잘도하네

어이여라 차~하~

열두자말목을 박고보맨

땅밑으로 다들어가네

(노래 2)

어이여라 차~하~

어이여라 차~하~

요분에는 줄골라잡으소

어이여라 차~하

한목일심을 줄당기주소

어이여라 차~하

딸이라도 있거들랑

어이여라 차~하

사우라도 삼아보세

어이여라 차~하

딸이야 있건마는

어이여라 차~하~

나이에리(나이가 어려) 못하겄네

어이여라 차~하

참새가작아도 강남을가요

어이여라 차~하

제비가작아도 용왕국을가고

어이여라 차~하

어이여라 차~하

사이공명 글을따라

어이여라 차~하

달가운데 계수나무

어이여라 차~하

은도끼로 찍어내어

어이여라 차~하

금도끼를 다듬어서

어이여라 차~하

초가삼간 집을짓고

어이여라 차~하

산중에다 둥근달아

어이여라 차~하

부귀영화 잘살때게

어이여라 차~하

말을길러 말을놓면 용마로놓고

어이여라 차~하

소를길러 소를놓면 금소를놓고

어이여라 차~하

개를길러 개를놓면 참쌉살놓고

어이여라 차~하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