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명석각 제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890
한자 鳴石閣祭享
영어음역 Myeongseokgak Jehyang
영어의미역 Seasonal Memorial Service at Myeongseokgak Shrine
이칭/별칭 울돌제사,운돌제사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창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동제
시작시기/연도 1973년연표보기
의례시기/일시 음력 3월 3일
의례장소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
신당/신체 명석각|자웅석 1쌍
제관 명석면장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동제(洞祭).

[개설]

명석면의 지명 유래가 된, 한 쌍의 자웅석(雌雄石)을 기리는 제사로 ‘운돌제사’ 또는 ‘울돌제사’ 라고도 한다. 원래는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에서 일반적인 동신제의 형식의 제를 지냈는데, 1973년 면민들이 뜻을 모아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 앞 산기슭에 명석각을 건립한 이래로 호국신앙이 가미되면서 면 단위의 제사로 확대되었다.

[명칭유래]

명석(鳴石)은 우는 돌이라는 뜻으로 운돌, 또는 울돌이라고 한다. 지금 사용하는 행정지명인 명석면도 바로 이 운돌에서 유래된 것이다. 운돌은 형태가 각각 남녀의 성기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일명 명석 자웅석(雌雄石)이라고도 한다.

전설에 의하면, 고려 말에 왜구의 침입(혹은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진주성을 정비하였다. 이때 공사를 끝내고 광제암으로 돌아가던 승려가 굴러오는 돌 한 쌍을 만났다. 승려는 돌에게 어디를 가느냐 묻자, 돌은 성 쌓기에 고통을 겪는 백성을 도와주기 위해 성돌[城石]이 되고자 가는 길이라고 하였다. 승려가 성을 축조하는 작업이 끝났다고 말했더니, 돌은 그 자리에서 통곡을 하였다고 한다. 그 후로 나라에 큰일이 생기면 돌이 사흘 동안 운다고 하여 두 개의 돌을 ‘운돌’ 혹은 ‘울돌’, ‘명석(鳴石)’이라 부르게 되었다.

[변천]

명석각을 건립하기 전에는 동전마을의 동신제의 하나로서, 음력 정월 보름날 오후 2~3시 경 마을 이장과 유지들이 음식물을 진설하고 제관이 두 번 절하고 소원성취를 빌고 소지를 올렸다. 개인적으로는 자식을 낳지 못한 부녀자가 금줄을 치고 금줄에다 빨간 고추나 숯을 끼우고 미역과 홍초를 놓고 공을 들였다.

그런데 지금은 이 자웅석을 대상으로 기자(祈子)나 다산을 기원하는 기능은 사라졌으며, 대신 ‘나라를 위해 운 돌’이라는 측면을 강조하여 나라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면 단위의 제의로 탈바꿈하였다.

[신당/신체의 형태]

명석각의 규모는 가로, 세로 각각 6m의 단칸 목조건물이며, 명석각에 안치된 운돌(자웅석)은 각각 남녀의 성기 모양과 비슷한 형태로, 숫돌은 높이 85㎝, 바닥지름 63㎝, 둘레길이 220㎝의 크기로 위가 볼록한 남자의 성기모양이고, 암돌은 높이 75㎝, 바닥지름 55㎝, 둘레 160㎝로 여자가 족두리를 쓴 형태이다.

[제관의 선정 및 역할]

마을 단위의 동제였을 때는 여느 동제와 마찬가지로 마을 주민 가운데 횡액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여 제의를 주관하였으나, 면 단위의 제의로 확대되면서부터 제관은 행정기관의 수장인 면장이 초헌관이 되고, 지역의 기관장이 해마다 돌아가면서 아헌, 종헌관을 맡고 있으며, 두 사람의 좌우 집사 역시 지역의 유지들 가운데서 선출하여 제향을 돕도록 하고 있다.

집례자는 동전마을의 연장자 가운데 유교적 제의에 밝은 사람을 선정하여 홀기를 부르도록 하는 등 유교적 제의를 충실히 지키고 있다.

[절차]

제향의 절차는 유교적 제의에 따라 제수를 마련하여 자웅석 앞의 은행나무 상에 진설하고 초헌, 아헌, 종헌의 절차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축문을 독축한다. 삼배(三盃)를 드리고 나면, 참석자 전원이 제단 아래에 도열하고 있다가 집례자의 창(唱)에 의해 함께 절을 올린다.

[제물/용품/제구]

제물은 밥 한 공기, 나물, 탕, 과일(사과) 등이며, 어물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제기 및 제구는 목기를 사용한다.

[부대행사]

제향이 끝나면, 마을에서 준비한 음식으로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제단 아래의 잔디밭에서 식사를 하며, 이 때 출향인사로 찾아온 사람들을 소개하고 간단한 인사를 나누며 담소하는 시간을 갖는다.

[옷차림]

제관 및 집사는 반드시 한복 두루마기를 입고 참례하며, 갓이나 유건은 쓰지 않는다. 일반인은 평상복의 단정한 차림으로 참여한다.

[축문]

유교식 제의에 따른 한문식 축문을 써서 집례자가 독축한다. 축문의 내용은 나라를 위해 눈물을 흘린 보국충석 운돌에 대한 감사와 공경을 표현한 것이다.

[제비]

마을의 동신제였을 때는 동회에서 추렴하여 충당하였으나, 지금은 면 단위의 행사로 확대되면서 기본적인 비용은 명석각보존위원회의 기금과 지역인사의 찬조금으로 충당한다.

[현황]

매년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 지역이 기관단체장을 비롯하여 면민들, 지역의 초등학생·중학생 등 300여명 이상의 인원이 참가하여 1973년 이래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거행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청소년들에게는 애향심과 애국심을 함양하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