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1128 |
---|---|
한자 | 晉州城北將臺 |
영어음역 | Bukjangdae Pavilion |
이칭/별칭 | 진남루(鎭南樓),공북루(拱北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7![]()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유나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3년 7월 2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진주성 북장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누각|성곽 부속 건물 |
양식 | 팔작지붕 목조와가|다락집형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중기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2칸 |
층수 | 2층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7 |
소유자 | 경상남도 진주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의 서북쪽에 위치한 누각.
현판에는 진남루(鎭南樓)로 되어 있으나, 진주성의 북쪽에 위치하여 북장대로 불린다. 또한 내성의 북쪽 끝에서 내성과 외성에 주둔한 병사 모두를 지휘할 수 있어 공북루(拱北樓)라는 별칭이 생겼다.
1584년(선조 17) 목사로 부임한 신점(申點)이 처음으로 세웠다.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7번지 진주성 서북쪽의 높은 언덕에 있다. 서쪽과 북쪽 일대를 한 눈에 내다볼 수 있는 내성 북쪽 끝 제일 높은 곳에 있어서 성 밖은 물론 성안과 외성에 주둔한 병사까지도 지휘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 때 손상된 것을 1618년(광해군 10)에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이 새롭게 고쳐 지은 건물이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쳐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팔작기와지붕의 목조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락집 형태이다. 조선 중기의 전형적 군사 건물로서 후대에 세워진 군사건물의 모범이 되었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진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