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1161 |
---|---|
영어음역 | Sarira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집필자 | 정규식 |
강원도 지역 논매기 노래인 「사리랑」의 변이형으로서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 전승되는 민요.
강릉 민요의 논매기 소리에는 「오독떼기」, 「꺾음오독떼기」, 「잡가」, 「사리랑」, 「담성가」, 「싸대소리」 등 6종이 있다. 그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오독떼기」이며, 나머지 「잡가」, 「사리랑」, 「담성가」 등은 「오독떼기」를 부르다 힘이 들거나 지루해지면 부르는 부속적 노래라 할 수 있다. 진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사리랑」은 바로 이 「오독떼기」의 부속으로 불려졌던 「사리랑」의 변이형이다.
사리랑 사리랑
처녀총각 보지마라
삼밭으로 들어간다
사리랑 사리랑
작은삼대 쓰러지고
굵은삼대 춤잘춘다
사리랑 사리랑
둥그레 당실 노시던
사리랑 사리랑
우리들이 이리노다
아기나 서면 어찌할꼬
사리랑 사리랑
걱정말고 잘노시오
진주 지역에서 발견되는 「사리랑」은 일반적인 경상도 지역 논매기 소리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것으로 가사의 내용과 형식, 가창 방식 등을 비교해 볼 때 강원도 지역의 전통적 「사리랑」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민요의 전파 과정과 변이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