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429
한자 新聞
영어음역 sinmun
영어의미역 newspaper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애

[정의]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서 신문지라는 대중매체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뉴스나 정보를 제공하는 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

[개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은 1883년 10월 31일 창간된 『한성순보』이다. 이 신문은 중앙정부기관에서 발행한 신문으로 국민들에게 외국의 사정과 개화사상을 널리 알리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신문은 1909년 10월 15일에 진주에서 창간되었다. 발행인은 영남의 유림 김홍조(金弘祚)이며, 주필은 마산 출신의 장지연(張志淵)이다. 이 신문은 처음에는 일간으로 출발하였으나 1910년 1월 1일 제19호부터는 격일간제로 바꾸었으며, 1910년 6월 21일 지령 100호 발행을 기념하여 지면을 확장하고, 야간학교를 개설하여 한문, 일문, 법률 등을 가르쳤다. 1910년 10월 11일자에 국권상실 때 자결한 황현(黃玹)의 절필사장(絶筆四章)을 장지연의 해설과 함께 게재하여 통감부로부터 발행정지를 받았다. 이후 1914년 폐간되었다.

[일제시대의 신문]

최초의 지방신문인 『경남일보』가 폐간된 지 20여년 만에, 1934년 9월 1일 편집 겸 발행인 신현수(申鉉壽), 인쇄인 강주수(姜周秀)에 의해 『영남춘추(嶺南春秋)』가 창간되었다. 『영남춘추』는 월간지로 『경남일보』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간된 이후, 지방 자체의 소식전달의 필요성을 느낀 진주시민의 요구에 의해 창간되었다. 매월 1일 8면씩 발행하였으나 1936년 1월1일자인 신년특집호가 10면 발행되었고, 지령 9호인 1936년 5월부터는 매월 1일에서 15일로 변경되어 발간되었다.

『영남춘추』는 창간사에서 진주의 광막한 폐허 위에 문화건설의 기초공작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그것을 실천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사회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 기획성 기사를 많이 취급했고, 미래를 생각하는 진취적 사고방식을 갖고 있었다. 산업과 교육을 육성하고, 문화와 신문물을 널리 알리고 반인륜, 반사회적 문제를 질타하는 내용을 매번 다루었다. 또 지역현안에 대한 현실과 문제점 해결방안 등을 다루어, 양봉·양잠·양계·과수 등 부업성 농업의 기술정보를 매번 싣고 있고, 극장과 공회당은 신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나 진주교육계의 유공자를 찾아 지면을 할애함으로써 교육발전에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영남춘추』의 보급은 경상남도 지역은 물론 충청남도와 전라남도까지 보급되었으나, 일제의 탄압을 받아 원만치가 않았으며, 결국 1936년 11월 15일자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영남춘추』가 발행된 지 4개월 후 1935년 1월 1일에 발행인 정필화(鄭弼和)에 의해 『중앙공중보(中央公衆報)』가 창간되었다. 1936년 3월 1일부터 『중앙공중보』는 제호를 『남선공론(南鮮公論)』으로 바꾸고, 이때부터 매월 2회 발행체제로 들어갔으나 잘 지켜지지 않았고, 1941년 1월 1일자(지령 65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중앙공중보』는 창건 당시 엄정한 비판적 태도를 강조하며 창건하였으나 말기에는 친일적인 요소가 짙어 일본신문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그 후 언제 폐간되었는지 자료 및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 없으나 현재 1941년 1월 1일자(지령 65호)까지의 자료만이 남아있어 그 후 바로 폐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진주에는 『진주보』·『경남평론』 등이 있었다고 전해져 모두 4개의 신문이 있었다.

[해방이후의 신문]

해방과 더불어 민주 언론의 기틀이 바로 잡히기 시작하고 언론 출판에 대한 의욕이 왕성하게 나타났다. 각지에서 신문잡지가 쏟아져 나왔는데 1946년 3월 1일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신문이었던 『경남일보』가 창간되어 지역 여론을 선도하기 시작했다. 『경남일보』와 함께 진주에는 각종 주간지가 선보여 언론의 홍수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진주지역에서 ‘향토의 횃불’로서의 노력해 온 『경남일보』는 제5공화국의 언론통폐합에 의해 강제 통합되어 폐간되고 말았다.

[80년대 이후의 신문]

6·29선언 이후 언론자유화는 진주에도 많은 인쇄매체가 생겨났는데, 최초의 움직임이 『경남일보』의 복간운동이었다. 먼저 임원산(林元山)[폐간 당시 논설위원]에 의해 이루어진 복간운동은 『경남일보』란 제호가 창원의 경남신문과 유사하다하여 등록이 거부되었고 결국 『경일신문(慶日新聞)』이란 제호로 등록증을 발부받았다. 그러나 경일신문은 발간되지 못하고, 폐간당시의 대표였던 김윤양(金閠陽)에 의해 경남일보는 복간되었고 『경일신문』은 자연스럽게 흡수되었다.

이외에도 진주에서는 지역신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주간신문인 『진주신문』이 1990년 3월 3일 창간되었다. 박노정을 발행인으로 하여 창간된 『진주신문』은 ‘지역민의 기쁨과 아픔을 담아낼 소망의 그릇’이 될 것을 다짐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남강신문』이 1990년 3월 24일 창간되었는데. 이 역시 진주, 진양을 대상으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2개의 주간신문은 운영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1993년 4월 19일 『진주신문』으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진주정신을 담아내는 데 힘쓰고 있다.

이외에 월간지로는 『월간경남』이 1988년 5월 21일 창간되었다. 『월간경남』은 경상남도지방의 주요행사소개와 전통문화를 발굴 보급하여 지역의 생활정보와 주민의 교양함양에 관한 내용을 주로 실었으며 발행인은 정호국이다. 그러나 『월간경남』 역시 재정난과 판로의 어려움으로 통권 23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다시 그 뒤를 이어 『메아리(문고판)』가 창간되었으나(91년 2월호) 다음해 역시 자진 폐간되고 말았다.

또 진주에는 『경남생활광장』, 『진주나눔터』, 『진주장터』, 『생활부동산정보』, 『진주교차로』 등의 생활정보지가 간행되고 있는데, 이는 광고를 위주로 한 무료신문 형태이나 진주의 생활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으며, 현재의 진주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