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1821 |
---|---|
한자 | 長在洞古墳群- |
영어음역 | Jangjaedong Gobungun① |
영어의미역 | Ancient Tombs in Jangjae-dong ① |
이칭/별칭 | 장재동 고분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장재동 드무실![]()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가야 |
집필자 | 류창환 |
성격 | 무덤|고분 |
---|---|
양식 | 돌덧널무덤|돌방무덤 |
건립시기/연도 | 5~6세기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장재동 드무실 |
경상남도 진주시 장재동 드무실에 있는 삼국시대 가야고분군.
『문화유적총람』(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7)에 ‘장재동 고분군’으로 실려 있으나 그 위치와 내용을 잘 알지 못하였는데, 2003년 경상대학교 박물관의 지표조사에 의해 그 위치와 내용이 분명해지고 명칭도 ‘장재동 고분군①’로 정정되었다.
장재동 장재소류지 쪽으로 가는 길의 서쪽 야산 기슭에 있는 강학우 씨 집에서 약 100m 정도 올라가면 고분군이 나타난다.
야산의 동쪽 사면에 봉분을 가진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 4기와 수십여 기의 돌덧널무덤이 분포하고 있다. 이 중 1호분은 직경 10m, 높이 2.5m 내외의 봉분을 가진 돌방무덤으로 돌방은 파괴되어 드러나 있다. 나머지 3기는 유실되어 흔적만 남아 있는데, 2호분은 원형의 봉분 속에 여러 기의 돌덧널무덤이 축조된 무덤으로 파악된다.
주변에서 굽다리접시와 항아리 등 깨어진 가야토기 조각들이 흩어져 있다.
도굴과 개간 등으로 훼손되어 고분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곳에 분포하고 있는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 등의 가야고분은 5~6세기 무렵의 진주지역 가야고분문화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