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2226 |
---|---|
한자 | 晋州河氏 |
영어음역 | Jinju Hassi |
영어의미역 | Jinju Ha Clan |
이칭/별칭 | 진양하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집필자 | 김학수 |
경상남도 진주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진주하씨의 시조는 고려 현종 때 상서공부시랑(尙書工部侍郞)을 지내고 평장사(平章事)에 추증된 하공진(河拱辰)이다. 그런데 하연(河演)[문효공(文孝公)]이 1451년(문종 1) 처음으로 족보를 내면서 그 서문에 ‘세계가 전함이 없고 『고려사(高麗史)』에 홀로 하시랑 공진이 있어 듣기에 기쁘나 동원(同源)이면서 분파가 확실치 않다.’고 한 것과 같이 진주하씨의 세계(世系)는 계통이 뚜렷하지 않은 3파로 갈라져 있다. 하공진을 시조로 하는 시랑공파(侍郞公派), 고려 정종 때 사직(司直)을 지낸 하진(河珍)을 시조로 하는 사직공파(司直公派), 고려 때 주부(主簿)를 지낸 하성(河成)을 시조로 하는 단계공파(丹溪公派)가 그것이다.
본관을 진주로 한 연유는 시조인 하공진이 진주 태생이며, 11세손인 하륜이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추봉되었고, 하진(사직공파)의 9세손 하즙이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에, 10세손 하윤원이 진산부원군에 봉해졌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하공진의 후손은 대곡면 단목리, 수곡면 사곡리, 금곡면 검암리 운문과 수곡면 효자리에 세거하며, 하진의 후손은 명석면 관지리, 옥종면 안계리에서 대대로 살고 있다.
단목, 사곡, 운문, 관지, 안계는 500여년의 역사를 가진 하씨들의 집성촌이다.
송정 하수일의 7대조부터 후손들의 묘는 수곡산에 있고, 하위보의 후손들은 단목에 세장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천서의 후손들은 운문에 세장되어 있다.
시조 하공진은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외교를 펴다가 돌아오지 못하였고, 하륜[1347~1416]은 영의정으로 태종을 도와 조선의 문물을 정비하였으며, 경재 하연[1376~1453]도 3대의 임금을 섬기며 영의정으로 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각재 하항[1538~1590]과 영무성 하응도[1540~1610]는 남명 조식의 제자로 학문의 성취가 있었고 송정 하수일[1553~1612]은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을 역임하였으며 겸재 하홍도는 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