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2663 |
---|---|
한자 | 鄭顯奭 |
영어음역 | Jeong Hyeonseok |
이칭/별칭 | 보여(保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편세영 |
성격 | 문신 |
---|---|
아버지 | 정기화(鄭琦和) |
성별 | 남 |
생년 | 1817년![]() |
몰년 | 1899년![]() |
본관 | 초계(草溪) |
자 | 보여(保汝) |
호 | 박원(璞園) |
대표관직 | 진주목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보여(保汝), 호는 박원(璞園). 정기화(鄭琦和)의 아들로 1817년에 태어났다.
1867년 진주목사(晋州牧使)로 부임하여 1870년까지 활동하였다. 의기사를 중건하였으며, 교방기구(敎坊機具)를 재설치하고, 의암별제(義巖別祭)를 신설하였다. 1870년에 김해부사로 전임되어 갔다. 문장명필(文章名筆)을 겸비한 선비로서 음악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1872년(고종 9)에 진주 교방(敎坊)에서 쓰이는 노래와 춤 등을 기록한 『교방가요(敎坊歌謠)』를 지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1권 1책이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