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2856 |
---|---|
한자 | 李俊民 |
영어음역 | Yi Junmin |
이칭/별칭 | 자수(子修),신암(新菴),효익(孝翼)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수덕 |
성격 | 문신 |
---|---|
아버지 | 이공량(李公亮) |
성별 | 남 |
생년 | 1524년![]() |
몰년 | 1590년![]() |
본관 | 전의(全義) |
자 | 자수(子修) |
호 | 신암(新菴) |
시호 | 효익(孝翼) |
제향 | 임천서원(臨川書院)[경상남도 진주] |
대표관직 | 좌승지|병조판서|의정부좌참찬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자수(子修), 호는 신암(新菴). 참봉을 지낸 이공량(李公亮)의 아들이며, 영남의 대학자인 조식(曺植)은 그의 외숙이다.
1524년(중종 19)에 태어나 1549년(명종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에 제수되었다. 1554년 사간원 정언이 되었고, 이후 홍문관수찬사헌부지평 등 청요직에 있으면서 당시의 권신 윤원형(尹元衡) 일파를 축출하는 데 앞장섰다가 반대파의 미움을 사서 영월군수로 좌천되었다. 1561년 강릉대도호부사가 되었으나, 관할구역인 대창역에서 아들이 어머니를 살해하는 변고가 일어나 책임을 지고 면직되었다. 그 뒤 세자시강원문학으로서 세자교육에 힘썼으며, 강계부사를 지냈다. 선조가 즉위하자 승정원으로 자리를 옮겨 좌승지를 역임하고, 이후 경기도관찰사, 공조참판을 지냈다. 1570년(선조 3)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오랫동안 국방을 담당하였으며, 1575년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 북변을 잘 다스려 공을 세웠다. 이즈음 동인·서인의 붕당이 심해지자 이를 매우 염려하였고,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하여 그를 따랐다. 1584년 이이가 죽은 후 당인들이 그를 탄핵, 공격하자 이에 맞서 강경하게 그 불가함을 주장하는 의기를 보였다. 내직으로 병조판서, 지의금부사, 의정부좌참찬을 두루 역임하였다. 천품이 강직하여 사리에 맞지 않으면 승복하지 않았다. 평소에 항상 검소하였으며 자제 교육에도 매우 엄하였다. 1590년(선조 23) 별세하였다.
당시의 공허한 사장(詞章) 중심의 문풍을 경계하고, 경학에 충실하여 덕행을 장려할 것을 주장하였다.
시호는 효익(孝翼)이며, 경상남도 진주의 임천서원(臨川書院)에 제향되었다. 『진양지(晋陽誌)』권3「인물조(人物條)」에 이름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