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조선 전기의 무신.
[가계]
본관은 김해. 호는 관란(觀瀾).
[생애]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우후(虞侯)가 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700명을 모집하여 왜적을 대파하는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염창강 언덕에 관란정(觀瀾亭)을 짓고 술로써 여생을 보냈다.
[상훈과 추모]
1812년(순조 12) 고장의 선비들이 조정에 임진왜란 때 허국주의 공을 알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충절탁이(忠節卓異)’라는 글을 하사받았다. 지금도 경상남도 지수면 청담리 염창나루 가에 관란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