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3291 |
---|---|
한자 | 晋州鄭舌夫婦墓 |
영어음역 | Jinju Sinan-dong Jeong Seol Bubu Myo |
영어의미역 | Tombs of Jeong Seol and His Wife in Sinan-dong, Jinj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 산 5![]()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공봉석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3년 10월 3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진주 정설 부부 묘 경상남도 기념물 재지정 |
성격 | 묘 |
양식 | 합장분 |
건립시기/연도 | 1395년![]() ![]() |
관련인물 | 정설(鄭舌)|정설의 처 강씨 |
관련인물 | 정설(鄭舌)|정설의 처 강씨 |
면적 | 2,000㎡ |
지름 | 6.8×4.8m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 산5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기념물 |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에 위치한 고려 말~조선 전기의 무신인 정설(鄭舌) 부부의 묘소.
진주시 서쪽 석갑산(石岬山) 북사면에 축조되어 있는 조선시대 방형분(方形墳)으로 둘레돌에 고분의 축조시기와 피장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진주정씨(晋州鄭氏) 공대공파(恭戴公派)의 파조(派祖)인 정척(鄭陟)의 아버지 정설(鄭舌)과 부인 강씨(姜氏)를 합장한 무덤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 산5번지에 있다. 진주시 서쪽의 석갑산(石岬山) 북사면 중턱이다.
묘 주위는 낮은 담장을 둘렀으며, 묘와 담장 사이에는 박석(薄石)을 깔았다. 담장 앞으로는 여러 단의 석축시설을 하였는데, 그 위에 상석과 향로석, 망주석, 비 등이 놓여있다.
묘의 평면 형태는 부부를 합장한 까닭에 횡장방형(橫長方形)을 띠며, 규모는 6.8×4.8m이다. 봉분은 방대형(方臺形)이다. 묘의 둘레는 지대석(地臺石), 둘레돌, 우주(隅柱), 갑석(甲石)을 갖추고 있으며, 지대석은 4면에서 모두 확인된다. 둘레돌은 지대석 위에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우주를 네 모서리에 세운 다음, 그 사이에 면석(面石)을 세웠다. 그리고 그 상부에 갑석을 앞뒤 5매, 좌우 3매로 정연하게 덮었다.
묘 앞쪽의 면석에는 많은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좌측에는 정설(鄭舌)이, 우측에는 부인 강씨(姜氏)가 매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인 강씨는 홍무을해(洪武乙亥) 즉, 1395년에 장사를 지냈고, 남편 정설은 영락임인(永樂壬寅), 즉 1422년에 사망하여 이듬해인 1423년[영락계묘(永樂癸卯)]에 장사를 지냈다. 정설은 진주정씨(晋州鄭氏) 공대공파(恭戴公派) 파조(派祖)인 정척(鄭陟)의 아버지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왜구를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2003년 10월 3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252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조선 전기의 피장자와 연대가 분명한 방형분으로 이 시기의 무덤 변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전면의 면석에는 각 피장자의 매장연대 외에도 많은 명문이 있어 당시 진주 지역의 가족사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