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3411 |
---|---|
한자 | 國譯晋陽誌 |
영어의미역 | Chronology of Jinyang in Translated into Korean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태남 |
1991년 진양문화원에서 『진양지』·『진양속지』·『진양속지 증보』 등을 국역한 책.
모두 10권으로, 『진양지』4권, 『진양속지』4권, 『진양속지 증보』2권이다. 이 중 『진양지』는 조선 광해군 14년(1622)부터 인조 10년(1632)에 걸쳐 성여신(成汝臣)이 편찬한 경상도 진주목 읍지로, 본래 2책으로 되었으나 목판본 인출 때 4권 3책으로 되었다. 그리고 『진양속지』는 1927년에 시작하여 5년 만인 1932년에 목판본으로 발행된 것이며, 『진양속지 증보』는 1964년에 시작하여 3년만인 1967년에 신활자본으로 발행된 것이다.
발간사, 진양지 해제, 역자의 말, 일러두기, 국역 진양지 차례, 그리고 본문, 원문,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양지』제1권에는 경사상거(京師相距)·사린강계(四隣疆界)·건치연혁(建置沿革)·속현(屬縣)·진관(鎭管)·관원(官員)·주명(州名)·형승(形勝)·풍속(風俗)·각리(各里)·호구전결(戶口田結)·산천(山川)·임수(林藪)·토산(土産)·관우(館宇)·성곽(城郭)·단묘(壇廟) 등이 수록되어 있고, 『진양지』제2권에는 학교(學校)·서원(書院)·서재(書齋)·정대(亭臺)·역원(驛院)·군기(軍器)·관방(關防)·봉수(烽燧)·제언(堤堰)·관개(灌漑)·교량(橋梁)·불우(佛宇)가, 『진양지』제3권에는 임관(任官)·성씨(姓氏)·인물(人物)·효행(孝行)·열녀(烈女)가, 『진양지』제4권에는 문과(文科)·무과(武科)·사마(司馬)·남행(南行)·유배(流配)·총묘(塚墓)·고적(古跡)·총담(叢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진양속지』제1권은 면리분합(面里分合)·원사(院祠)·부조(不祧)·정대·시장(市場)·불우·임관·성씨가, 『진양속지』제2권에는 인물·유행(儒行)이, 『진양속지』제3권에는 충의(忠義)·효행·열행(烈行)이, 『진양속지』제4권에는 문과·무과·사마·총묘·고적·총담이 수록되어 있고 증보판인 『진양속지』제5권에는 시군분합(市郡分合)·관원·행정구역(行政區域)·관우(館宇)·학교·원사(院祠)·부조묘(不祧廟)·정대·묘각(墓閣)·비(碑)·역명(驛名)·제언·관개·교량·시장·불우·임관이, 『진양속지』제6권에는 인물·유행·품행·효행·열행·고적·총담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는 고려시대 관직표, 고려시대 위계 변천표, 조선시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표, 구한말 관직표, 고갑자 환산표, 연대표가 수록되어 있다.
46배판 960쪽 규모의 이 책은 진양의 역사·지리·풍토는 물론, 인물·사건 등 모든 문화현상이 서술되어 있는 향토사이다. 따라서 이 책은 진주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본 자료이자 역사를 정립하는 데 있어서 기본 사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