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431
한자 日帝强占期
영어음역 Ilje gangjeomgi
영어의미역 Japanese Colonial Period
이칭/별칭 일제시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백태남

[정의]

1910년 국권강탈 이후 1945년 광복에 이르는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식민통치 시기.

[개설]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정책은 사회·경제적 수탈뿐만 아니라 한국민족 말살정책을 강행하는 악랄한 정책을 집행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설치한 교통·통신시설은 비록 그것이 근대적인 시설이었다 하더라도 설치목적과 그 기능은 자국의 이익만을 위한, 그리고 대륙침략의 병참기지화에만 있었다.

이러한 식민지정책에 의해 진주지역의 농민들은 토지로부터 밀려나고 몰락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이래 배출된 빈농층과 자본주의 발전 속에서 배출된 노동자층, 그리고 새로 생긴 교육기관에서 배출된 지식인에 의해 진주지역의 항일독립운동은 완강하고 줄기차게 전개되었다.

[지방행정제도]

일제는 국권 강탈 후인 1910년 9월 지방관제를 발포하여, 종래의 관찰사를 도장관(道長官)으로 바꾸었으며, 1918년 8월에는 다시 도지사로 개칭하였다. 1917년 지정면으로 지정되었던 진주면이 1931년 진주읍으로 승격함으로써 진주군은 1읍, 18면, 17정을 통할하게 되었다. 1939년 진주읍이 도동면과 거평면을 통합하여 진주부로 승격되고 나머지 지역은 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로써 1945년 해방 당시 진주부는 2면과 17정을 관할하고, 진양군은 16면을 관할하에 두고 있었다.

[경제]

일제시대 경제정책은 우리나라 스스로의 결정에 의한 경제정책이 아니라 일제의 필요에 의한 농업정책·산업입지정책·노동정책이 실시되었다. 일제의 경제운영 목표는 기본적으로 일본 경제를 위해 필요한 식량공출과 자원 수탈, 그리고 대륙침략을 위한 전진기지 건설에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국가경제의 비정상적인 운영, 전통적인 운영 및 전통적인 농업사회의 해체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일제의 경제정책에 의하여 진주지역의 농민들은 소작농·빈농으로서 이전보다 더욱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진주지역에서 농민들의 토지경작 면적은 일제 전 기간에 걸쳐 계속 영세화해 가고 있다. 또한 진주지역 농민들 중 소작농의 비율이 후대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소작지도 늘어나고 있음을 〈표2〉〈표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1〉 진주군 농가 1호당 경지면적 증감표

〈표 2〉 진주군 소작지율의 변화

〈표 3〉 진주군 총농가 중 소작농 호수의 비율의 변화

*〈표 1〉 〈표 2〉 〈표 3〉은 배영순, 「1910~30년대 경상남도 지방의 지주제」-통계지표의 분석을 중심으로-(『대구사학』42, 1991)에서 의거하여 정리한 것임.

이와 같은 일제의 경제적 침탈로 몰락하는 농민이 늘어나면서 일부는 도시로 와서 품팔이나 공장 노동자로 전락해 가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진주지역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일본인이 처음 진주에 정착한 것은 1902년의 일이었는데, 이후 그 수가 꾸준히 늘면서 상업·금융업·운송업 등에 진출해서 진주지역의 경제권을 장악해갔다. 또한, 일본인들은 많은 자금을 토지 매입에 투자해 진주를 비롯하여 서부 경상남도 일대의 많은 토지를 점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진출에 앞장선 기관은 조선권업회사 진주지점과 청수합자회사로, 진주를 비롯해서 사천·고성·하동·창원 등지에 많은 토지와 산림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처럼 일본인들은 일제의 비호를 받으며 진주지역의 경제권을 장악해가고 있었다. 일부 한국인 자산가들이 일본인과 합자하거나 단독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영세한 형태의 양조업·정미소 등의 사업이나 상점을 운영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근대적 제도와 시설]

일제의 식민지 지배가 이루어지면서 행정·교통·교육 등 근대적 제도와 시설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적 시설의 설치는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반면, 식민지 지배와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진주는 여러 차례의 지방제도의 개편으로 영역이 축소되고 근대도시로서의 발전의 속도가 인근 부산이나 마산에 뒤지기는 했지만, 경상남도 지역의 수부로서 기능은 유지하였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에 진주에는 경상남도 도청을 위시해서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 진주헌병대 본부(진주·마산·부산·거창에 분대 설치), 진주우체국, 경남 종묘장, 경남 경무부 등 중요기관이 들어서게 되고 그와 관련된 시설들도 설치되었다.

일제는 또한 원활한 식민지 통치를 위하여 도로를 정비하였다. 1900년대에 접어들어 자동차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도로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1909년 진주~삼천포간 도로를 개통한 후 1910년에 진주~마산간, 1914년에 진주~하동간, 1915년에 진주~거창간, 1918년에는 진주~합천간 도로를 차례로 개통하였다. 또한 1925년 6월에는 진주~마산간 철도가 개통되어 서부 경상남도의 중심지인 진주의 교통망이 사방으로 확산되었다.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조선 말 1895년 7월에 소학교령이 제정되면서 진주에도 공립소학교가 개교한 이후 1910년에 사립 봉양학교진주공립실업학교가 설립되었다. 이후 1925년에는 진주공립고등보통학교가 설립되었고, 1940년에는 진주사범학교가 개교하여 초등학교 교원 양성에 앞장섰다.

그러나 일제의 조선인에 대한 교육 차별화 정책으로 인해 학교 증설을 억제했기 때문에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는데,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밖에 가난한 아동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뜻있는 인사들이 설립한 야학회도 많이 생겨났다.

[구국운동]

1910년 국권상실 이래 진주에서는 독립사상을 고취하며 우리의 독립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는 한편,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려는 구국운동이 연이어 일어났다. 그 대표적인 것이 1919년의 삼일운동으로, 이해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독립만세운동은 곧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진주지역에서도 김재화(金在華) 등에 의하여 의거가 준비되어 진주 장날인 3월 18일 독립만세운동을 벌였으며, 5월까지 약 20회에 걸쳐 3만여 명의 인원이 참여하였다.

1923년 4월 25일 진주에서는 사회운동가들과 백정사회의 지도자들이 형평사(衡平社) 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열었다. 이는 모든 인간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누리고 평등한 대우를 받아가며 살아가야 한다는 형평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것으로, 결국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형평사는 진주에 본사를, 각 도에 지사, 각 군과 유명 마을에는 분사를 두는 전국 조직체계를 갖추어 진주가 그 중심에 있었다.

1926년 순종의 장례일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일어난 6·10만세운동의 여파가 진주에도 미쳤고, 이를 계기로 민족운동의 통일전선을 의도하는 신간회(新幹會)가 1927년에 결성되고, 진주에도 10월 19일 신간회 진주지회가 결성되어 본격적인 활동을 하였다.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 전국적으로 학생운동이 확산되자 진주에서도 1930년 1월 17일부터 학생들이 궐기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민족독립운동은 지하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비밀결사가 생겨나게 되었는데, 진주지역에도 1931년에 진주농고 학생들의 비밀결사, 1932년에 진주협의회와 진주고보 비밀결사 등이 조직되어 활동하다가 일제의 경찰에 다수 검거되기도 했다.

이러한 진주지역의 항일구국운동은 전통적으로 불의에 대한 강한 의분과 일제에 대한 뿌리 깊은 저항의식이 어느 지방보다도 강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