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3019 |
---|---|
한자 | 舊江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동|산호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 |
전구간 | 구강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동 |
---|---|
전구간 | 구강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
성격 | 바다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동과 산호동 사이의 바다.
[개설]
옛날부터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동과 산호동 일대의 바닷가를 불러온 말이다.
[명칭 유래]
옛날부터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동과 산호동 일대의 바닷가를 일컫는 말로 오동동 샛강과 대칭이 된다. ‘구강(舊江)’이라는 지명에 관련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오래된[중심] 바다’를 뜻하는 말로 부르게 되었다고 짐작될 뿐이다.
조선 시대 『호구 총수(1789)』에 ‘구강촌(舊江村)’으로 등장한다. 이후 『경상도 읍지(1832)』에 ‘구강리(舊江里)’로 등장하다가 이후 ‘산호리(山湖里)’로 『영남 읍지(1895)』에 등장한다. 구강촌은 ‘중심 마을’로 판단된다. ‘舊[구]’의 훈 ‘오래’가 중심의 의미를 갖고 있는 우리말 ‘~, ~’의 변이형이고 ‘江’의 훈 ‘물’이 ‘~, ~’로서 마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 환경]
현재 구강 주변으로 대부분의 바다가 매립되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북동쪽의 봉암동 앞바다는 매립되어 마산 자유 무역 지구가 형성되어 있고 동쪽으로는 포스코 특수강, 두산 중공업 단지 등 공업 단지들이 들어서 있다. 남쪽으로는 마산만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마산만 중앙부에 아름다운 톹섬[넓이 0.112㎢, 높이 해발 50m]이 자리 잡고 있다. 서쪽으로는 낙남 정맥의 무학산, 대곡산, 대산, 광려산 산자락이 위풍당당하게 우뚝 솟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현황]
현재 구강 일대의 앞바다가 매립되어 무역을 중점으로 한 공단 지역으로 마산 자유 무역 지역(馬山自由貿易地域)가 구성되었다. 1970년대 당시 이리시의 이리 수출 자유 지역[현재의 이리 공업 단지]과 함께 마산시 임해 지역 일대에 수출 자유 지역으로 조성되었으며, 생산·수출·수송 등과 광대한 공장부지[약 165만㎡], 풍부한 공업용수[8만 5000t], 동력·노동력, 기타 여러 가지 입지적 조건이 양호하였다. 외국 기업체에도 참여할 수 있는 문호를 개방하여 해외 수출 증대, 해외 시장 정보 획득, 남해안 임해 공업 벨트 지대 성장의 선도적 역할을 꾀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양덕동과 봉암동에 이 단지가 건설됨으로써 2만 5000명 이상의 고용 증대, 각종 임대 사용료 등으로 많은 외화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