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5047
한자 熊川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정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593년 - 웅천 왜성 축조
관할 지역 웅천 왜성 - 진해구 남문동 산 211-1 지도보기

[정의]

조선 시대 웅천(熊川)에 설치되었던 군사 주둔 지역인 진(鎭).

[개설]

진(鎭)은 변경 방어상의 요충지이며 군사가 주둔하는 지역이다. 조선왕조가 개창된 이후에도 전국의 군사적인 방어체계를 재편하였다. 이 과정에서 세조 때 진관체제(鎭管體制)가 등장하였다.

웅천진(熊川鎭)은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군사 관계를 보면 진해(鎭海)와 함께 웅천(熊川)은 김해진관(金海鎭管) 소속이었으며 종6품의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가 지휘하였다.

웅천(熊川)은 진(鎭)이 있었던 관계로 웅천현(熊川縣)은 종 6품의 현감이 파견되었는데 주로 무관이 배치되었으며 웅천현(熊川縣)을 보호하는 성(城)으로 웅천 읍성(熊川 邑城)이 있다. 웅천 읍성은 장방형 석축성(石築城)으로 기단부를 이중으로 조성하고 자연석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쌓아 올렸다. 또한 성벽의 네 곳에 옹성형(甕城形) 문지(門址)를 두었으며 각 문지의 좌우와 성곽의 네 모서리부에 곡성(曲城)과 적대(敵臺)를 둔 전형적인 읍성의 형태를 보이고 있는 성(城)이다.

왜병들이 축조한 웅천 왜성(熊川 倭城)진해구 남문동 산 211-1번지 일대에 소재하고 있다. 웅천 왜성남문동남산 산봉우리에서 능선을 따라 산기슭까지 뻗친 석성으로 임진왜란 때인 1593년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축조하여 수비하던 곳으로 정유재란 때 다시 수축하였다고 한다. 『웅천읍지(熊川邑誌)』에 따르면 원래 남산은 3개의 봉우리가 있었으나 이를 삭평(削平)한 뒤 일본식으로 산의 정상부에 본성을 두고 산록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제1외곽, 제2외곽을 배치하여 축성하였다. 아울러 육지로부터의 방비를 철저하게 하기 위한 것인 듯 남북으로 양익으로 긴 나성을 두었고 북쪽 해안과의 연락을 위한 통로와 양 측면에 외호를 조성하였다.

성내의 넓이는 약 5,000평 정도이고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3~8m에 이른다. 축성에 사용된 성석은 현무암과 청석이 대부분이다. 대형면석을 상하로 고르게 쌓고 그 사이사이에 괴석을 채우면서 지면에서 70° 정도의 경사각을 이루어 축성하였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웅천진(熊川鎭)은 조선 시대 내륙과 해안 지역을 통합한 전국적인 군사적 방어 체계인 진관체제(鎭管體制)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거제·칠원·진해·고성과 함께 김해진관(金海鎭管) 소속으로 편제되었다.

[관련 기록]

『신증 동국 여지 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웅천현(熊川縣) 군사 관계인 관방(關防)관계를 보면 제포진(薺浦鎭)에 경상우도수군첨절제사영(慶尙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경상도 수군 편제에서는 진해(鎭海)와 웅천(熊川)은 수군이 있었다는 언급은 없지만 지역적으로 보아 제포진관(薺浦鎭管) 소속이며 종 4품의 수군만호의 지휘를 받았던 지역이었다.

[내용]

웅천진(熊川鎭)은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권4 병전(兵典)조에 의하면 경상도의 경주·안동·상주·진주·김해·대구 등 모두 6개의 진관(鎭管)에 소속된 46곳 중 거제·칠원·진해·고성과 함께 김해진관에 편제되었다.

[의의와 평가]

웅천진(熊川鎭)은 행정과 경제의 중심지인 웅천현(熊川縣)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며 웅천 읍성(熊川 邑城)과 함께 해안을 통한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여 지역민을 보호하기 위한 조선왕조의 국방에 대한 노력과 실천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현존하는 웅천 읍성은 조선시대 읍성(邑城)연구의 좋은 사례가 되며 웅천 왜성(熊川倭城)도 그 자체로 남해안 일대에 산재하고 있는 왜성(倭城)들과 함께 왜성 이해의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