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함종 어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7002
한자 咸從魚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집필자 최정용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에서 남송의 어화인(魚化仁)을 시조로 하는 세거 성씨.

[개설]

함종 어씨(咸從魚氏)의 본관은 평안남도 증산군(甑山郡)이다. 본관지인 함종(咸從)은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오랫동안 황폐하였다. 고려 때 아선성(牙善城)을 설치하였고, 1018년(현종 9)에 함종현으로 개편하였으며,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예속되었다가 충렬왕 대에 다시 복구하고 함종현을 설치하여 조선 시대에도 유지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 1413년(태종 13) 현령(縣令)을 두었으며, 1720년(경종 1) 부(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 제도 개정으로 평양부 함종군이 되었고, 1896년에 평안남도 함종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강서군과 합하여 강서군과 용강군에 나누어 편입되었다. 지금은 강서군에 속한 함종면으로 남아 있으며, 지역을 증산군(甑山郡)으로 이관하였다.

[연원]

함종 어씨는 중국에서 시작된 성씨로 풍익현(馮翊縣) 출신 어화인(魚化仁)이 남송 때 난을 피하여 고려 명종 원년에 강원도 강릉부에 정착한 것이 우리나라 어씨의 시초라고 알려져 있다. 그는 평안도 함종현(咸從縣)으로 세거지를 옮겼는데, 함종 어씨는 7세 어준량(魚遵亮) 대에 진주(晉州)로 세거지를 옮겼음에도 불구하고, 2세인 어영기(魚永寄) 부터 6세 검교 군기 감사공(檢校軍器監事公) 어석공(魚石公)이 고려조에서 출세하였으므로 함종을 관향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함종 어씨의 시조인 어화인은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역임하였다. 조선조 때 선의 왕후 어씨(魚氏)[어유구(魚有龜)의 딸]가 20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 대한제국 때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이 되었다.

[입향 경위]

창원시 진해 지역에 어화인을 시조로 하는 함종 어씨(咸從 魚氏)의 후손들이 언제부터 들어와 세거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자세한 경위는 불분명하다.

[현황]

함종 어씨 중앙 종친회와 연락을 취하여 진해 지역 문중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앙 종친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있었는데 현재 진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함종 어씨 인사들이 대략 13명 정도로 파악이 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미미하고 세가 예전 같지 않다고 한다.

함종 어씨의 파명록(派名錄)을 보면 문정공파(文貞公派), 양숙공파(襄肅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훈도공파(訓導公派), 호군공파(護軍公派), 낭선공파(浪仙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한종공파(漢宗公派), 한위공파(漢緯公派), 한형공파(漢亨公派), 부정공파(副正公派)로 11계파가 성세를 이루었다.

2000년도 정부의 인구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280성씨 중 어씨(魚氏)가 인구 순위 95위[1만 7551명]로 3개 어씨[함종, 충주, 경흥] 중에서 수위를 차지하고, 서울과 경기, 강원, 경남 등지에 많이 살고 있다.

주요 세거지 변천을 보면, 시조 호장동정공(戶長同正公)이 처음 강릉 땅에 왔으며, 뒤에 함종에 살다가 7세 중랑장공(中郞將公)이 진주로 옮겼다. 8세 서령공(署令公) 휘 득룡(得龍), 9세 좌윤공(左尹公) 휘 백유(伯游), 10세 휘 연(淵), 11세 직제학공(直提學公) 휘 변갑(變甲)까지의 묘소는 경상남도 고성과 함안 등지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강릉에는 3세 검교위장군공(檢校衛將軍公)이 세거하면서 현재까지 강원도 일원에 그 후손들이 살고 있다. 함종 어씨 중흥 조(祖)는 면목공(綿谷公)변갑(變甲)이다. 세종 때의 명신으로 1408년(태종 8)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집현전 직제학에 이르렀다가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인 함안에 돌아가 노모를 봉양했다.

[참고문헌]
  • 김영배, 『성씨의 고향』(중앙 일보사, 2002)
  •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 함종 어씨 중앙 종친회(http://www.hamjong.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