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필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7116
한자 李畢伊
이칭/별칭 일란(一蘭)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홍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이필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55년 - 이필이 김천흥에게 사사
몰년 시기/일시 2009년 3월 17일연표보기 - 이필이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0년 - 이필이 추모 공연 개최
출생지 이필이 출생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지도보기
묘소 이필이 묘지 - 마산 시립 공원묘원 지도보기
성격 한국무용가
성별
본관 전주
대표 경력 한국 예술 총연합회 마산 지부장

[정의]

창원시 마산 출신의 무용가.

[개설]

이필이는 마산 출신의 무용가로서 주로 마산에서 활동해왔다. 활동 기간 많은 제자들을 길렀으며 수차례의 공연을 통해 전통 무용 보존과 보급에 힘써 온 인물이다.

아버지 이찬종과 어머니 구막이 사이에 3남 4녀 중 셋째다.

[활동사항]

이필이(李畢伊)[1935~2009]는 명랑 쾌활한 성품과 예술적 재능을 천부적으로 지니고 태어났다. 어린 시절 김해랑의 춤 교습소를 담너머로 훔쳐보면서 흘러나오는 장고 소리에 맞춰 몰래 혼자서 연습을 하며 춤을 배워야겠다는 꿈을 키웠다고 한다. 완월 초등학교에 다니며 수업시간에 아기말과 어미말이 정답게 뛰노는 모습을 율동으로 표현 것을 본 여교사가 천부적인 무용가가 되라는 덕담을 할 정도로 무용에 소질이 있었다고 한다. 춤방 담장을 훔쳐보며 춤을 익혔던 그가 정식으로 춤에 입문하게 된 것은 1949년 성지여학교 진학하고 부터였다. 당시, 최승희의 제자였던 이미라 선생의 눈에 띈 것이다. 이후 타지로 전근을 간 선생님을 찾아 서울로 상경하였다. 그러나 그 선생님은 만나지 못하고 낙원동에 있는 김천흥 무용 연구소를 찾아 갔다. 갖은 고생 끝에 김천흥 선생으로부터 ‘포구락’을 비롯해서 창작 무용의 기본과 북 장단을 배웠다. 이시기 김천흥 선생으로부터 김천흥류 살풀이를 전수받았다.

단국 대학교 정외과에 진학하였으나 1957년에 중퇴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이필이 무용 연구소를 개설하였다. 1958년 무용 발표회를 개최하고 1960년부터는 성지 여중고에 출강하기도 하였다. 1968년에는 김해랑의 제자인 최현, 이매방으로부터 승무와 살풀이 춤을 사사를 받았다. 1970년부터 1986년까지 무려 16년간 한국 무용 협회 경남 지부장을 맡았으며, 취임 후 마산 시민 극장에서 첫 발표회를 개최하였고, 1980년에서 1982년 사이에는 전국 무용인 합동 공연에 경남인 대표로 참가하였다.

1991년 국립 극장 전국 무용 제전에 참가였으며 1992년 한국 예총 마산 지부장을 맡고, 해외 공연도 하였다. 미국 잭슨빌시와 멕시코 사포판시의 초청으로 초청 공연을 하고, 그해에 창원 대학교 행정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94년 이매방 춤인생 60년 공연에 초청되고, 2000년과 2004년에는 김해랑 선생 추모 공연에 참가하였다. 2001년 ‘한국의 소리를 찾아서’라는 작품에서 무용 분야를 맡아 공연을 하고, 2003년 마산 청년 무용단을 창단하였으며 2004년 경남 낙동 7인 명무전에 출연하였다.

[저술 및 작품]

작품으로는 「뱀의 춤」, 이미라가 안무했던 1인 2역의 「선과 악」 등은 인기도 좋았다. 그 밖에도 「회상」[1971], 「설화」[1972], 「번뇌」[1978], 「사랑」·[1981], 「굴레」·[1986], 「맥」·「일란」·[이상 1987], 「난대 별곡」 「사군자」·[이상 2001] 등을 안무하였다. 무용극으로는 「도」·[2000], 「이성지합」·[2002], 「성신 대제」·[2003], 「효」·[2005], 「운림지」·[2006], 「목련 존자」·[2007], 「모녀 상봉 지곡」·[2008] 등이 있다.

[묘소]

묘는 마산 시립 공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마산시 문화상 (1978), 한국 예총 회장 표창, 개천 예술제 특장 부문 대통령상[1982], 한국 예술인 문화 대상, 창원 대학교 무용 콩쿠르 안무상, 개천 한국 무용제 특장 부문 대상[1995], 대한민국 교육 문화 대상[1997], 경상남도 문화 대상[1999] 등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