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밀성 박씨 준구의 효행」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076
한자 密城朴氏準龜-孝行
이칭/별칭 고사리 효행각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고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8년 - 「고사리 효행각」 『감동으로 적신 효성』에 수록
관련 지명 효행각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고사리 지도보기
성격 구비 전설
주요 등장 인물 박준구|어머니
모티프 유형 효행담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고사리 도로 위에 효행각(孝行閣)에 얽힌 박준구의 효행담.

[채록/수집 상황]

『감동으로 적신 효성』[마산 문화원, 1998]에 「고사리 효행각」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진전면 고사리 도로 위에 효행각(孝行閣)이 세워져 있다. 이 비각은 효자 밀성 박씨(密城朴氏) 준구(準龜)의 지극한 효행을 추모하여 세운 비각이다. 각 지방의 사론(士論)으로 1934년 유림들이 세운 것이다. 비문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함안의 효자 박공의 이름은 준구요, 자는 낙서(洛瑞)이니 신라왕의 후예로서 별도로 아들을 밀성군으로 봉함으로써 밀성 박씨가 되었으며 이로부터 대관과 아름다운 시호(諡號)가 대대로 빛나게 끊어지지 아니하였다. 이조의 선조 때 이르러 공신이신 충정공의 호는 졸재(拙齋)요, 이름이 숭원이신 분이 중시조이다.

순조 무인(1818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지극하신 성품이 있었으며 겨우 10세에 서당에 나아가 선생님께 소학을 수학하다가 글 읽기를 옛날 동생(董生)이 아침에는 밭에 나가 밭갈이를 하고 저녁에는 집에 돌아가 글 읽기를 하였다는 옛 사람의 글을 읽는데 와서는 개연히 탄식하며 말하기를 “우리는 집안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연로하시어 몸소 일을 하시고 계시는데 자식 된 몸으로서 그 아버지를 수고롭게 하면서 글을 읽어 무엇 하겠느냐” 하고는 밭에 나가 밭갈이를 하고 나물도 캐고 나무도 하여 어버이를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극진히 모셨고 혹시 밖에 나가 놀다가 특이한 별미를 얻게 되면 집에 돌아와서 부모님께 드렸다.

나이 16세에 어머님의 병환을 간호하여 백방으로 약을 썼으나 효험이 없자 손가락을 잘라 어머님의 목안에 피를 흘려 넣어 드렸으며 또한 아버님의 병환을 간호할 때는 단을 쌓아두고 하늘을 향하여 절을 하며 빌었더니 천신이 감동하여 효험을 얻게 되었다. 그 후에 어쩔 수 없이 천수를 마치자 날마다 묘소의 곁에 가서 모시고 아침저녁 상식 때는 슬프게 우셨으며 술과 고기를 자시지 않으면서 삼년상을 마쳤다는 내용이다.

[모티프 분석]

「밀성 박씨 준구의 효행」 이야기는 부모님의 몸과 마음을 편안히 해드리는 것이 진정한 효도임을 깨달아 몸소 농사일을 하면서 부모님을 봉양한다는 ‘효행담’이다. 구체적인 효행으로 어머니의 병이 깊어지자 단지주혈로써 병을 구완하기고 하면 이러한 준구의 효행과 지성에 하늘도 감동하여 효험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