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비야 비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138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우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비야 비야」 『우리 고장 문화유산』에 수록
채록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가창권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격 동요|민요
기능 구분 비기능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4음보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동요.

[채록/수집 상황]

2007년 진해·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에서 발행한 『우리 고장 문화유산』의 423쪽에 실려 있다. 이는 진해·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 황정덕이 1980년대에 채집하여, 『진해 시사』[2006]에 발표하고, 그 때의 것을 다시 실은 것이다.

[구성 및 형식]

4음절 4음보의 율격으로 단순하게 반복되는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에 있어 소박한 제제의 순차적 구성은 서정적인 노래 가락과 잘 어우러져 읊조리기 좋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는 대부분 혼자 부르거나 여럿이 함께 부르는 노래인데 「비야 비야」는 독창의 형식이 강하다.

[내용]

비야비야        오지마라

우리생이(언니)  시집간다.

가마에          비들친다

다홍치매(치마)  얼룩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옛 삶의 방식에서 여자는 혼인과 동시에 출가외인이 되어야 했다. 그래서 언니의 시집가는 날은 기쁘면서도 이별해야 하는 슬픈 날이다. 「비야 비야」의 노랫말에는 이러한 이중적인 의미가 비 오지 않기를 바라는 따뜻한 마음으로 잘 드러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