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노중억운문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2007
한자 路中憶雲門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상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6년 - 이기옥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04년 - 이기옥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3년 - 「노중억운문산」 『두암 선생 문집』에 수록
배경 지역 운문산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이기옥

[정의]

조선 전기 두암 이기옥운문산을 소재로 지은 한시.

[개설]

이기옥(李璣玉)[1566∼1604]은 자신의 호를 운문의 두암(竇巖)[공암]에서 취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운문산에 대한 애호가 남다른 인물이었다. 운문산과 관련해서 「노중억운문산(路中憶雲門山)」과 장편의 부(賦)가 전한다.

[구성]

「노중억운문산(路中憶雲門山)」은 7언 절구이며 운자는 ‘청(淸)’과 ‘정(程)’이다.

[내용]

「노중억운문산(路中憶雲門山)」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주운문산수근(家住雲門山水近)[내 집은 운문의 산수 가까이에 있는데]

연하의구몽중청(烟霞依舊夢中淸)[안개와 노을은 예전처럼 꿈속에서 선명해라]

동풍작야생춘수(東風昨夜生春樹)[봄바람이 어젯밤 봄 나무에 불어오니]

응한유인재원정(應恨幽人在遠程)[응당 숨어 사는 사람 먼 길에 있음을 한스러워하리라]

앞의 두 구절은 꿈속에서 본 고향 운문산의 풍경을 읊었고, 뒤의 두 구절은 현재의 시점[봄]과 시인이 처한 상황을 그려 냄으로써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운문산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간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특징]

「노중억운문산(路中憶雲門山)」은 실제 운문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아니라 먼 길을 가면서 고향인 운문산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이다.

[의의와 평가]

이기옥운문산에 대한 애호는 아들인 이중경[李重慶]에게도 그대로 전해져 17세기 청도 산수 문학의 꽃을 피우게 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