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늘아! 엉덩이 빼처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286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김길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 - 「며늘아! 엉덩이 빼처라」『함안의 구전 설화』에 수록
성격 설화|민담|육담
주요 등장 인물 시어머니|며느리|사공
모티프 유형 유부녀 겁탈|남녀 결합

[정의]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유부녀 겁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며늘아! 엉덩이를 빼처라」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산적 같은 뱃사공에게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각각 욕을 보아 동서가 되었다는 육담(肉談)으로 유부녀 겁탈 설화와 남녀 결합 설화의 변이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원래는 신적인 인물들이 결합하여 천지 창조를 되풀이하던 이야기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평범한 인물들로 대체되어 웃음을 유발하는 육담으로 나타난다.

[채록/수집 상황]

2005년 함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함안의 구전 설화』의 275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김영일이 발굴하여 정리한 것이다.

[내용]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장에서 볼일을 보느라고 늦어져 바쁘게 집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집으로 갈 길은 멀고 해는 져가는데 강을 건널 배가 보이지 않았다. 겨우 배를 찾고 보니 사공이 산적같이 생겨 꺼림칙하기는 하였으나 별수 없이 강을 건너게 해 달라고 하였다.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같이 배에 타려 하자 사공은 배가 작아 세 사람이 한꺼번에 탈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며느리가 먼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게 되었다.

그런데 배가 강 한가운데에 이르자 사공이 배를 좌우로 흔들어 며느리를 희롱하였다. 며느리는 물에 빠질까 무서워 꼼짝을 못하는데 한참을 희롱하던 사공은 바지를 내리고 며느리를 욕보이려 달려들었다. 이것을 본 시어머니는 애간장이 타 며느리를 향해, "애야! 며늘아, 엉덩이를 이쪽으로 빼처라. 아니, 아니. 저쪽, 이쪽, 아니 이쪽으로 빼처라!" 하고 발을 동동 구르며 외쳤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며느리를 강 건너로 건네다 준 사공은 시어머니를 배에 태웠다. 시어머니로서는 화가 나고 두렵기도 했지만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배를 타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놈의 사공이 강 중간에서 시어머니도 욕보이고 말았다. 졸지에 어이없는 일을 당한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화를 낼 수도 없었다. 그리고 자신도 소문이 나면 자신과 집안에 큰일이 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며느리를 달래며 “애야, 오늘 일은 너하고 나밖에 모르니 무덤에 들어갈 때까지 비밀을 지켜야 한다."며 몇 번이고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자 듣다 지친 며느리가 시어머니에게 하는 말 "동서나 입조심하게."

[모티프 분석]

「며늘아! 엉덩이를 빼처라」의 주요 모티프는 '유부녀 겁탈', '남녀 결합' 등이다. 유부녀 겁탈 모티프는 「단군 신화」에서의 환웅과 웅녀의 결합이나 「주몽 신화」에서의 해모수와 유화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신적인 인물들의 결합을 통해 천지 창조를 이루는 행위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도미 설화」나 「우렁이 설화」에서는 주인공이 신에서 일반적인 인물로 변하게 되고, 그 내용도 평범한 인물들의 이야기로 바뀌게 된다.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전승되는 「며늘아! 엉덩이를 빼처라」에서는 함안 지역의 남강을 배경으로 하여 남녀 간의 결합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동시에 뱃사공에게 겁탈을 당하는 이야기를 통해 남성의 여성에 대한 욕망을 거리낌없이 드러내고 있다. 또한 시어머니에 대한 며느리의 해학적인 태도를 통해 시집살이에 지친 여성들의 속마음을 읽을 수 있는 민담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